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고고·미술

백제 사비도성의 조영과정(百濟 泗沘都城의 造營過程)

  • 분류 고고·미술 > 건축
  • 권호수 제47집
  • 저자 이병호
  • 발행일 2002년 6월
  • 게재지 한국사론
  • 발행처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목차

머리말
一. 사비시기 막새 기와의 분석
1. 사비시기 막새 기와의 분류
2. 사비시기 막새 기와의 편년
二. 사비도성의 정비과정
1. 도성 내외 기와건물의 건립 단계
2. 도성 내부의 축조과정
맺음말

요약

사비도성 내외에서 다량으로 출토된 막새기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기와 건물의 건립 과정을 단계화함으로써 사비도성의 시․공간적 변화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사비도성의 시간적 흐름에 따른 변화과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출토유물인 막새기와 중 연화문수막새를 중심으로 변화 양상을 추적하였다. 막새기와의 편년은 대체로 3단계로 구분되며, 이는 도성 내외 기와건물의 건립 과정과도 일정하게 대응하고 있다.
먼저 1단계는 웅진시기 말부터 능산리사지가 축조되기 이전인 6세기 중엽까지로 고구려의 영향과 함께 새롭게 남조 양나라의 영향을 받은 토기 공인들에 의해 기와가 제작되던 시기이다. 용정리사지, 구아리유적, 쌍북리유적 등 부여 지역에서도 비교적 높은 지역, 특히 부소산과 금성산 일대의 구릉지역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나성을 비롯한 방어시설, 왕궁과 관아건물의 일부가 이 시기에 건립된다.
2단계는 6세기 중엽에서 7세기 초반까지로 능산리사지의 창건기와로 생각되는 ⅠDa유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막새 문양이 새롭게 제작되는데, 소판연화문의 다양한 변화상과 기와제작 기술의 내재화를 통해 백제 고유의 막새기와가 제작된다. 또한 관북리유적이나 정림사지, 동남리유적, 군수리사지 등 도성 내부의 기와 건물 건립이 급겨히 증가하며, 이를 통해 도성 내부의 본격적인 정비를 추정해 볼 수 있다.
3단계는 Ⅲ유형의 단판연화문이나 Ⅶ유형의 복판연화문 등과 암막새․인각와․서까래기와․치미 등 다양한 종류의 기와들이 대량 생산되는 7세기 전반에서 멸망기까지이다. 이 시기에는 나성 내부 뿐 아니라 왕흥사와 같이 백마강 서쪽 對岸에서도 기와 건물의 건립이 확인되며, 지방의 주요 거점지역이나 교통로상에도 사원 등의 기와 건물이 건립된다. 또한 나성과 백마강 내부에만 한정되던 도성의 팽창이 이루어져 도성민의 거주 공간이 확대되고, 기와 건물을 비롯한 불교 문화의 확산이 이루어진다.
사비천도 이전 시기에 속하는 용정리사지, 저석리고분군, 정동리요지, ‘대통’명 기와 등은 웅진시기 사비 지역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며 배후도시로서의 성격을 잘 보여주고 있다. 6세기 중엽 이후 도성 내부의 개발은 기와 건물, 그 중에서도 특히 사원의 건립이 두드러지는데, 사원의 축조가 저습지 개발을 통해 이루어진 점에서 천도와 도성 개발이 무논[水田] 개발과 같은 농업생산력의 증대 위에서 이루어진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도성 내 사원을 비롯한 기와건물의 증가는 새로운 도성의 경관을 규정하고 고분을 대신하여 귀족과 왕권의 권위를 상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었다. (필자 맺음말)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기타 4세기 백제의 지방통제방식 일례 ; 동진청자의 유입경위를 중심으로(4세기 百濟의 地方統制方式 一例 ; 東晋靑磁의 流入經緯를 中心으로)
    • 발행처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 저자권오영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사론 제18집 
    자료카드

'이병호'님께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건축 부여 능산리사지 가람중심부의 변천 과정(扶餘 陵山里寺址 伽藍中心部의 變遷 過程)
    • 발행처한국사연구회 
    • 저자이병호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사연구 제143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건축 사비 도성과 경주 왕경의 비교 시론(泗沘 都城과 慶州 王京의 比較 試論)
    • 발행처경주시·신라문화선양회·경주문화원·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 저자이병호 
    • 발간년도 
    • 게제지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제29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건축 백제 정림사식 가람배치의 전개와 일본의 초기사원(百濟 定林寺式伽藍配置의 展開와 日本의 初期寺院)
    • 발행처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저자이병호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연구 제54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건축 백제사원과 일본 비조사 삼금당의 원류(百濟寺院과 日本 飛鳥寺 三金堂의 源流)
    • 발행처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저자이병호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연구 제57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건축 일본의 도래계 사원과 백제 유민의 동향 1 -오사카・오쓰・동국・기비의 고고학 성과를 중심으로(일본의 도래계 사원과 백제 유민의 동향 1 -大阪・大津・東國・吉備의 고고학 성과를 중심으로)
    • 발행처고려사학회 
    • 저자이병호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사학보 제53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건축 일본의 도래계 사원과 백제 유민의 동향 2 -비조(飛鳥), 기타 지역의 고고학 성과를 중심으로-
    • 발행처한국고대학회 
    • 저자이병호 
    • 발간년도 
    • 게제지선사와 고대 제39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부여 정림사지 출토 소조상 제작기법과 봉안장소
    • 발행처국립중앙박물관 
    • 저자이병호 
    • 발간년도 
    • 게제지미술자료 제72,73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부여 정림사지 출토 소조상의 제작시기와 계통
    • 발행처국립중앙박물관 
    • 저자이병호 
    • 발간년도 
    • 게제지미술자료 제74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부여 구아리 출토 소조상 과 그 유적의 성격(扶餘 舊衙里 出土 塑造像 과 그 遺蹟의 性格)
    • 발행처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저자이병호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문화 제36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부여 능산리사지 출토 와당의 재검토(扶餘 陵山里寺址 出土 瓦當의 再檢討)
    • 발행처한국고대사학회 
    • 저자이병호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고대사연구 제51권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경주 출토 백제계 기와 제작기술의 도입과정 - 전 흥륜사지 출토품을 중심으로 -
    • 발행처한국고대사학회 
    • 저자이병호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고대사연구 제69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7세기대 백제 기와의 전개 양상과 특징
    • 발행처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저자이병호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문화 제50권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기타 백제 사비시기의 도성과 지방도시(百濟 泗沘時期의 都城과 地方都市)
    • 발행처역사문화학회 
    • 저자이병호 
    • 발간년도 
    • 게제지지방사와 지방문화 제6권 1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기타 일제강점기 백제 고지에 대한 고적조사사업(일제강점기 백제 故地에 대한 古蹟調査事業)
    • 발행처한국고대사학회 
    • 저자이병호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고대사연구 제61권 
    자료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