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지리·환경

「백강」의 위치에 대하여(「白江」의 位置에 대하여)

  • 분류 지리·환경 >
  • 권호수 제2호
  • 저자 심정보
  • 발행일 1989년 12월
  • 게재지 한국상고사학보
  • 발행처 한국상고사학회

목차

Ⅰ. 머리말
Ⅱ. 從來의 諸學說
Ⅲ. 關係史料의 提示
Ⅳ. 中國側 史料에 있어서 江名 呼稱 方法과 白江
Ⅴ. 周留城戰鬪 經過와 白江
Ⅵ. 맺음말

요약

백제후기 관문적 역할을 수행한 백강은 많은 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었으나 대체로 주류성 위치해명을 위한 선결문제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백강의 위치비정에 있어서도 서고 각기 다른 견해를 비치는 형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백강의 위치에 관해 관계문헌사료를 면밀히 검토하여 새로운 고찰을 하고자한다.
백강의 위치해명에 있어 문제점은 백강 및 웅진강의 호칭문제에서 연유된 것이다. 즉 중국측 사서에 강의 호칭을 발원지에서 강하구까지를 통칭하여 부르지만 우리나라의 고대 지리지에서 나루 명칭이 곧 강의 호칭이 되고 있어 중국에서와 같이 통칭하는 예가 없다.
그리하여 중국측에서 통칭할 수 있는 강의 명칭은 중국에까지 널리 알려진 지명이어야될 것으로 믿는다. 따라서 현재의 금강을 통칭할 때 백제시대에 있어서 중국에 알려질 수 있는 지명은 웅진과 사비일 것으로 중국측 사서에 웅진강과 사비하를 한어화한 백강이 수록되고 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이로 볼 때, 웅진강구 및 백강지구는 다같이 현재의 금강하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백강구전투는 바로 금강하구에서 일어난 사건임이 입증되는 것이다.
또한 기벌포는 삼국유사에 수록된 이에 대한 고증 및 별칭인 장암, 손량, 지화포, 백강 등에 대한 현재조사 결과 장항읍이 틀림없다고 사료된다.
한편 주류성이 함락된 이후 임존성에서 마지막까지 버티고 있던 지수신을 공격하기 위해 출동한 신라군이 끝내는 실패하고 설리정으로 반사하여 논공행상하고 있음은 금강하구 주변에 위치한 주류성으로 돌아와 신라군의 사기를 북돋우기 위함이며 또한 이곳에 당군이 유진하고 있음을 볼 때, 더욱 확실하다 하겠다. 따라서 주류성은 금강하구에 위치한 서천군 관내에서 찾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 하겠다. (필자 맺음말)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지리·환경 > 한성백제시대의 한강유역(漢城百濟時代의 한강유역)
    • 발행처한국상고사학회 
    • 저자권학수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상고사학보 제18호 
    자료카드
  • 지리·환경 > 금강 상류지역 교통로의 조직망과 재편과정
    • 발행처한국상고사학회 
    • 저자곽장근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상고사학보 제66호 
    자료카드

'심정보'님께서 발행한 자료

  • 지리·환경 > 백제부흥운동시의 「웅진도」에 대한 연구(百濟復興運動時의 「熊津道」에 대한 硏究)
    • 발행처대전개방대학 
    • 저자심정보 
    • 발간년도 
    • 게제지논문집 제1집 
    자료카드
  • 지리·환경 > 백제고지 대방주고(百濟故地 帶方州考)
    • 발행처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저자심정보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연구 제18집 
    자료카드
  • 지리·환경 > 계족산성의 지정학적 위치와 그 성격(鷄足山城의 地政學的 位置와 그 性格)
    • 발행처한남대학교 충청학 연구센터 
    • 저자심정보 
    • 발간년도 
    • 게제지충청학연구 제1집 
    자료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