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 3세기 초엽 세형동검 초기 단계의 대표적 유물, 유적들은 그 대부분이 충남, 전라 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석관묘가 그 주된 묘제로 나타나고 있어 이 단계의 가장 선진적인 주민집단은 반도 서남부 지역 석관묘 계열에서 찾을 수 있다. 세형동검문화의 보급이 보다 확대되는 B.C 3세기 말~ B.C 2세기에 걸친 시기는 청동기 유물의 분포가 남한 각지로 확산되고 있다. 이 단계는 청동공구류 외에 이형동령의 존재로 특정질 수 있으며 또한 이 시기에는 銅伐의 보급과 제작과정에서도 반도 서남부 지역 주민집단의 문화적 선진성이 지속된다. 이러한 세형동검문화의 각 단계는 전단계와 계승적 측면이 보다 강하게 나타나 동일 문화 주체의 점진적 발전과정으로 파악된다. 서남부 지역의 세형동검문화 단계의 선주집단을 위지의 마한 소국과 계승적 발전 관계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는 경상도 지역 소국연맹체 내지는 소국 자체의 상당수가 B.C 2세기말 이래 서북한 토광묘계 이주민의 정착과 밀접한 관계에서 새로 대두되는 것과 대조된다.
위지에 나온 마한 목지국 진왕의 진,변한 지역에 대한 영도력을 청동기문화단계에서 확립되어 기원전후경까지 지속된 마한 소국 집단의 우월한 위치를 반영한 자료로 해석하고자 한다. 또한 마한 소국의 낙후한 사회 상태도 청동기문화의 청산과 철기문화의 유입이라는 전환과정에서 나타난 문화적 중층구조에 기인한 것이다.
청동기문화단계의 주도적 선주집단이 서북한 토광묘 계열의 문화와 주민의 유입, 부여계 북방유이민의 정착에 따라 점차 그 세력이 약화, 위축되어 가던 과정이 마한사회의 형성과 그 세력의 변천과정을 통해서 유추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대부분은 백제국가의 저변을 형성한 토착 세력으로 편제되어 갔고 이러한 마한소국 연맹체의 성장 발전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소국들의 형성 문제, 개별적 위치 비정, 유적자료 등이 종합적으로 고찰되어야 할 것이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