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백제의 기원과 부여계승 의식
Ⅲ. 백제의 묘제변화와 그 성격 검토
Ⅳ. 만주지역 백제설의 검토
Ⅴ. 百濟의 南下와 伯濟國의 통합
Ⅵ. 백제의 국가발전에 관한 단계별 검토
Ⅶ. 맺음말
요약
백제의 국가발전 과정은 크게 5단계의 정치발전을 거쳤다. 즉, 읍락-국읍-국읍연맹-부체제-집권국가단계이다. 백제의 국가발전 단계 기준은 통합 규모, 집중화 정도, 계층분화 정도를 가지고 논할 수 있다.
읍락단계는 세기 경 유적인 풍납토성 최하층의 취락유적에서 확인된다. 국읍단계는 대읍락을 중심으로 수 개의 군소읍락이 단위체를 형성하는데 몽촌지역에 방어시설인 목책이 갖춰지고 고분이 출현하는 2~3세기 경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백제 세력은 읍락에서 국읍단계로 넘어가는 시기에 한강유역에 정착했다. 국읍연맹단계는 구릉지에 토성이 축조되고 봉분을 가진 대형고분이 출현하는 시기다. 석촌동 대형 즙석봉토분이 출현하고 그 묘제가 한강유약에 분포하는 3세기 중반이다. 부체제단계는 중앙 권력의 원심력이 연맹전체로 미치는 시기로 서울 외 지역의 대형 봉토고분이 성장되는 4세기 중반까지에 해당한다. 집권국가단계는 4세기 중반 이후로 피라미드형 대형 기단식 석실적석총이 출현하고 있다.
백제건국세력의 시원은 부여인데 고구려와의 대립은 그 계승의식 속에서 파악할 수 있다. 즙석봉토분의 기원은 봉토 유실을 막기위한 토광분구묘에서 발전된 것으로 토광묘가 기단식 석실적석총 출현 이전 서울 지역의 주묘제가 되는데 그 규모와 부장품의 질은 백제 최고 지배층의 분묘로 간주할 수 있다. 고구려 묘제인 석실적석총은 4세기 중반 이후 서울지역에 출현하는데 이는 만주 지역 백제의 남하 결과였다. 만주에 있었던 것으로 포착되는 백제는 2차례에 걸쳐 한강유역으로 남하하였는데 두 번째 이동시 지니고 온 묘제는 고구려계의 기단식 석실적석총이었다. 이는 왕실교대를 뜻하는 것이다. 백제의 세력확대는 伯濟國과 百濟 단계로의 구분이 가능하다. 백제국 단계에서는 기본적 생존자원인 소금 확보, 그 독점적 공급을 통한 대규모 교역체제를 운영하였거니와 중국군현과의 관계에서 오는 정치적 단절의 필요성을 계기로 한강 수계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연맹체를 형성하였다. 그 결과 집권력을 강화시킬 수 있었던 백제국은 4세기대에는 부체제단계에 진입할 수 있었다. 백제단계에서는 중장기병 중심의 정복전을 전개하여 국읍세력을 제압한 바 노령산맥 이북까지 영역확대를 기하였다. 아울러 가야연맹과 영산강 유역 마한 잔여 세력에 대한 지배권도 확립하였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