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웅진지역의 토착신앙과 불교
III. 산신신앙과의 융합
IV. 업설과 미륵정토신앙
V. 법화경의 영향
VI. 맺음말
요약
웅진지역의 불교는 무령왕릉에서 발견된다. 그런데 무령왕릉에서 발견되는 불교적인 요소는 토착신앙과 함께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이 당시 불교가 토착신앙과 공존하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토착신앙으로 살펴볼 수 있는 것으로 산신신앙이 있다. 그리고 산신신앙과 더불어 동굴신앙이 주목된다. 동굴신앙은 고구려에서 그 흔적이 찾아지는데, 祖上神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동굴신앙은 웅진지역에서 찾아지는 穴寺와 연결시켜 살펴볼 수 있다. 穴寺는 토착신앙적인 요소를 가진 동굴에 승려들이 들어가 수행함으로써 사찰로 발전하였을 가능성을 말해주기 때문이다.
웅진지역에서 토착신앙이 불교화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것으로 수원사가 있다. 수원사가 기록된 『삼국유사』를 보면 산신령이 노인으로 변하여 신라의 승려 진자에게 이미 미륵선화를 친견하였음을 밝히는 장면이 보인다. 이 기록은 토착신앙의 불교화 과정을 설명해준다고 하겠다.
토착신앙의 불교화 과정에서 중요한 사상적 기반이 된 것이 業說이 아닐까 한다. 업설의 윤회전생상이 미륵신앙에서 밝히는 내세관과 공통되는 점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중국의 미륵신앙에서 하생을 통하여 왕과 제후 등으로 태어나길 바라는 모습에서 뒷받침된다.
또한 미륵신앙은 『法華經』의 천불신앙과도 연결된다. 『법화경』 보현보살권발품에 등장하는 千佛과 수원사의 千山의 의미가 통하는 면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천산에 있는 산신령이 진자에게 미륵선화를 소개하는 모습은 천불이 중생을 도솔천으로 안내해 미륵을 친견할 수 있도록한 장면과 유사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러한 추론은 웅진지역에 중국에 유학한 법화승려 현광이 활동할 만큼, 『법화경』이 매우 성행하였던 것에서 뒷받침 된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