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백제의 불교사상과 도장
1. 백제의 불교사상
2. 도장의 활동과 『성실론』 연구
III. 도장의 『성실론소』 일문과 그 영향에 대해서
1. 道藏 『성실론소』의 일본 유통
2. 『道藏疏』 逸文에 대해서
IV. 금후의 과제
요약
『道藏疏』 逸文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삼론종 저술에 『도장소』가 자주 인용되었다. 이것은 일본종파에서 삼론종에서 성실종이 겸학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정토종이나 화엄종, 천태종, 율종의 경우에는 『성실론』과 깊은 관련이 있는 내용이었다.
일문의 검토와 일본 성실종의 정황 등을 고려하면, 도장의 소는 鎌倉 시대 이전까지는 동대사삼론종에서 주로 학습된 후, 겸창시대가 되어 널리 유통된 것으로 보인다.
사상의 측면으로 보면, 도장은 『성실론』 사상을 충실히 계승하지만, 외도에 관한 설에서 볼 수 있듯이 『성실론』과 타설과의 화회도 시도한다. 이것은 도장의 『성실론소』에서 볼 수 있듯이, 도장의 梁代 『성실론』연구, 열반학․지론학․천태학․계율의 연구를 충분히 반영한 결과로 추측된다. 이것은 도장이 학습해 온 백제불교의 현상을 이야기해 줌과 동시에 700년대 이전의 일본 불교의 학문수준을 이야기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금후, 아직 발견될 『도장소』일문을 수집하고 도장의 사상을 보다 상세히 하는 것은 백제 불교사상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필자 금후의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