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진은 계획적으로 도성을 조성할 지형적 여건이 갖추어지지 못한 곳이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천도후의 어려움을 어느 정도 극복한 동성왕은 사비지역으로 자주 사냥을 나가 지형을 시찰케 되었으며, 그리고 사비지역의 방어를 위해 오늘날의 부여 남쪽 임천지역에 가림성을 축조하고 백가로 하여금 지키게 하였던 것이나, 백가에게 죽임을 당하였으니 아마도 동성왕부터 이러한 일련의 행동은 사비지역으로의 천도를 계획하게 되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러한 계획이 백가에 의해서 동성왕이 죽임을 당함으로써 중단되었다가 성왕대에 이르러 단행케 되었던 것이다. 사비천도에는 상당기간의 계획이 있었던 것 같다. 《삼국사기》에서는 이러한 계획에 대하여 살필 수 없으나 부여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발굴조사의 결과에 의하면 사비도성은 잘 계획된 도성이었음을 알 수 있다. 약 8km에 이르는 나성을 축조하여 최후 방어의 역할 뿐 아니라 계획된 도성의 요건을 갖추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의 도성내에는 동서남북으로 교차되는 폭이 9~10m 정도의 도로가 개설되어 있었으며, 도로의 양편에는 하수구가 시설되었고 그에 부수된 암거시설 또한 발견 되었다. 뿐만 아니라 시가지의 북쪽 경계선에서는 석축의 築台가 있으며, 건물지들과 우물들이 발견되기도 하였던 것이다. 무엇보다도 사비지역은 남북으로 축을 이루어 궁궐, 사지, 궁남지, 도로 등이 정연히 배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어 이는 잘 계획된 성이었음을 알려주는 자료들이다. 이러한 근래 부여에서의 고고학적 발굴조사의 결과에 의하여 드러난 계획된 사비도성내에서 행해졌던 도성내의 행정구역이 바로 오부제였던 것이다. 실제로 부여지역의 발굴현장에서는 발굴 유물 중에서 부제와 관련된 유물들이 출토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표석도 발견된 바가 있다. 이러한 유물들은 사비도성에서는 분명히 오부제가 실시되었던 사실을 입증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서》, 《수서》, 《북사》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백제의 도성내 오부제는 웅진도읍기부터 시행되었다고 하기 어려운 것이다. 협소하기 이를데 없어 동성왕대부터 천도를 계획하였으며, 금강이 범람하면 상당부분 침수되던 조건의 웅진에서 떠나 새로이 계획되어 천도한 사비도성에서 시행된 제도로 판단된다. 사비천도의 원인 가운데는 이러한 도성제를 실시코자 했던 것도 하나의 원인이 되었을 것이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