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문헌

백제 후기의 불교학의 전개과정

  • 분류 문헌 > 종교·사상
  • 권호수 제28호
  • 저자 최연식
  • 발행일 2011년 4월
  • 게재지 불교학연구
  • 발행처 불교학연구회

목차

Ⅰ. 머리말
Ⅱ. 聖王代의 불교계 동향과 불교학
: 南朝 成實涅槃學의 수용
Ⅲ. 威德王代의 불교계 동향과 불교학
: 北朝의 禪法과 地論學의 전래
Ⅳ. 武王代의 불교계 동향과 불교학
: 三論學과 攝論學의 수용
Ⅴ. 맺음말

요약

백제는 聖王대에 梁나라와의 문화교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양나라 불교학의 주류적 흐름이었던 成實涅槃學을 수용하여 연구하였고, 이것이 백제 후기 불교학의 기본 바탕을 이루게 되었다. 威德王대의 불교학은 성왕대와 마찬가지로 성실열반학이 주류였지만 동시에 중국 불교계의 새로운 사조들도 수용되고 있었다. 먼저 남조의 陳에 유학하였던 玄光은 南嶽衡山의 慧思(514-577)문하에서 法華三昧行法을 수학하고 돌아와 백제 불교계에 이를 전파하였다. 또한 북조와의 교류가 시작되면서 북조 불교학의 주류적 흐름이었던 地論學도 수용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백제 불교계에 지론학과 관련된 내용들이 많지 않고 일본에서 활약한 백제 승려들에 관한 기록에서도 지론학 관련 내용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볼 때 백제 불교에서의 지론학 수용과 연구는 상당히 제한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武王대에는 隋 및 唐과의 정치, 문화적 교류를 추진하면서 당시 중국 불교계의 주요 흐름으로 등장하고 있던 섭론학과 삼론학이 수용되어 발전하였다. 특히 삼론학 문헌인 『大乘四論玄義記』가 찬술되고 다수의 삼론학 승려들이 일본에 건너가 활동하는 등 삼론학이 크게 융성하였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성왕대 이후 수용되어 백제 불교의 기반을 이루고 있던 남조의 성실열반학이 섭론학보다는 삼론학과 친연성이 있었던 때문으로 생각된다. 상대적으로 백제 불교계에서 섭론학의 영향은 크게 두드러지지 않고 있는데, 이는 섭론학이 주류적 흐름으로 나타나는 신라 불교계와는 차이가 있는 것이었다. (필자 요약)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문헌 > 종교·사상 백제 성주산 신앙과 성주사(百濟 聖住山 信仰과 聖住寺)
    • 발행처불교학연구회 
    • 저자신동하 
    • 발간년도 
    • 게제지불교학연구 제22호 
    자료카드

'최연식'님께서 발행한 자료

  • 문헌 > 종교·사상 백제 찬술문헌으로서의《대승사론현의기》(백제 찬술문헌으로서의《大乘四論玄義記》)
    • 발행처한국사연구회 
    • 저자최연식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사연구 제136호 
    자료카드
  • 문헌 > 종교·사상 6세기 동아시아 지역의 불교 확산 과정에 대한 재검토 -백제의 불교치국책과 주변 국가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6세기 동아시아 지역의 불교 확산 과정에 대한 재검토 -百濟의 佛敎治國策과 주변 국가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 발행처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 저자최연식 
    • 발간년도 
    • 게제지충청학과 충청문화 제13권 
    자료카드
  • 문헌 > 종교·사상 백제 후기 미륵사상의 전개과정과 특성
    • 발행처한국사상사학회 
    • 저자최연식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사상사학 제37집 
    자료카드
  • 문헌 > 종교·사상 삼론학강요서의 유통을 통해 본 백제 불교학의 일본 불교에의 영향(三論學綱要書의 유통을 통해 본 百濟 불교학의 日本 불교에의 영향)
    • 발행처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저자최연식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문화 제49집 
    자료카드
  • 문헌 > 기타 《대승사론현의기》 백제찬술 재론-김성철 교수의 반론에 대한 비판-(《大乘四論玄義記》 百濟撰述 再論-김성철 교수의 반론에 대한 비판-)
    • 발행처한국사연구회 
    • 저자최연식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사연구 제138호 
    자료카드
  • 문헌 > 기타 미륵사 창건의 역사적 배경(彌勒寺 創建의 歷史的 背景)
    • 발행처한국사연구회 
    • 저자최연식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사연구 제159호 
    자료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