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I. 제주도는 백제의 영토였는가?
II. 백제의 전라도 남서부 지역 진출 시기
III. 백제 멸망 이후 탐라국의 동향
IV. 통일신라시대 및 고려시대의 탐라국
맺음말
요약
탐라는 비록 백제와 신라에 신속하는 나라였다고 하지만, 그 영토는 아니었으며, 7세기 중엽에는 이미 왕과 왕위계승자인 왕자가 정해지고, 왕자가 왕위를 잇는 방식의 왕권이 성립되어 있었다. 고려시대 숙종ㆍ의종 연간에 이르러 군 내지 현을 설정하였지만, 그렇다고 탐라의 전통적인 지배구조를 부정한 것이 아니었다. 고려시대 말기까지 여러 차례 파견된 지방관을 살해하거나, 말 등의 공물을 바치기를 거부하며 반란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탐라의 역사가 이러하였던 것만큼, 그 문화나 언어 속에 대해서도 그 독자적인 성격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제주도의 탐라국 문제를 생각하면서 우리의 역사관에 적잖은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들이 갖고 있는 역사관은 단일과 통합이라는 신화 위에서 성립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단일과 통합을 향한 모든 행위는 정당화되고, 그 속에서 다양성과 고유성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소한 고대의 단계에서라도 단일과 통합에만 정신을 빼앗기지 말고 분열과 각축이라는 실제의 모습을 존중한다면, 보다 풍성한 고대의 모습을 되살릴 수 있지 않을까? 『삼국사기』나 『삼국유사』가 고구려ㆍ백제ㆍ신라의 삼국이라는 설정 위에서 우리의 고대사를 이해한 결과, 우리들의 인식도 삼국이라는 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러한 역사서의 기술과는 달리, 실제로는 경상남북도 지역에 가야의 여러 나라들이 6세기 중엽까지 존속하고 있었고, 그들 나라의 화려한 문화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전라남도 지역에는 마한의 잔여세력이 5세기 말까지도 존재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에도 탐라국이라고 불리는 나라가 최소한 고려시대 중엽까지도 독립왕국으로 존속하고 있었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