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머리말
2. 解氏와 扶餘氏의 王室交替
(1) 王姓에 대한 諸說의 檢討
(2) 初期百濟王系의 分析
(3) 解氏와 扶餘氏의 교체
3. 中央集權力의 성장
(1) 支配領域의 확대
(2) 王權中心의 集權力의 성장
4. 支配體制의 정비
(1) 諸率會議
(2) 佐平의 설치
5. 맺음말
요약
解氏와 扶餘氏의 王室交替問題에 관해서는 먼저 百濟 王姓에 대한 諸說을 검토하면서 종래의 單一姓說이라든가 근래의 제기된 優氏·眞氏·牟氏說 등이 성립될 수 없음을 밝히고 대신 해씨와 부여씨 兩姓이 王姓으로 나타나게 된 배경을 연맹체의 형성과 관련지어 살펴본 후, 沸流집단을 解氏系로, 溫祚집단을 扶餘氏系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초기 백제의 王系분석을 통해 蓋婁王까지는 해씨왕계이고 肖古王 이후부터는 부여씨왕계이며 따라서 해씨와 부여씨의 왕실교체의 시기를 肖古王代로 보았다. 초고왕대 이후 왕위는 부여씨에 의해 세습되어 갔으며 이는 백제의 성장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연맹체의 확대는 집권력의 성장과 직결되며 그 과정은 곧 지배영역의 확대로 나타나게 된다. 초기 백제의 성장은 馬韓과 대등한 위치를 확보하는 것을 분수령으로 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의 지배영역의 확대를 右·左輔의 임명순차를 좇아 추적해 보았다. 그 결과 백제는 북부의 解氏·眞氏세력, 동부의 屹氏세력, 서부의 茴氏세력 등을 흡수하여 지배영역은 북으로는 예성강, 동으로는 춘천, 남으로는 안성·평택, 서로는 서해에 이르게 되었고 마한과 대등한 존재로 부상하게 되었다.
지배영역의 확대와 더불어 부여씨 왕계 성립 이후 역대왕들은 농업생산력의 증대와 왕권강화를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하였고 그러한 노력의 연장선 위에서 고이왕이 등장하여 왕권확립의 토대를 다지게 되었다. 직계와 방계의 대립 속에서 방계 출신으로 왕위에 오른 고이왕은 반대세력의 도태와 더불어 왕권강화를 위한 일련의 조치를 취하였다. 左將을 설치하여 兵馬權을 왕권 아래 귀속시키고, 右輔의 임명에 영향력을 증대시켰으며, 또 稻田의 개간 등을 통해 王政의 物的 기반을 확립한 것 등이 그것이다. 이리하여 고이왕은 중국군현과의 대결에서 韓을 대표하는 臣智로서 부각하게 되었고 따라서 이제는 단순한 족장이 아닌 諸族長 위에 군림하는 존재로 격상된 것 같다. 이것은 곧 왕권 중심의 집권력 성장의 결과라 할 것이다.
중앙집권력의 성장은 상대적으로 연맹체를 구성한 諸族長들의 정치적 독립성을 해체시키게 되었고 점차 그들은 왕권 아래서 그 지위를 보장받는 귀족으로 전화되어져 갔다. 필자는 이렇게 귀족화된 족장세력들을 지칭하는 칭호를 率로 보고 이 率은 마한 각국 渠帥의 칭호인 邑借의 後身으로 파악하였다. 이 率들은 고구려의 제가회의나 신라의 대등회의(화백회의)와 비슷한 성격의 諸率會議를 구성하여 중요국사를 논의한 것으로 추정하고 이 諸率會議의 회의장소를 南堂으로 보았다.
왕의 품격의 격상은 諸率會議의 주재자에도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왕권이 미약하여 諸族長들의 독립성이 강하였을 때 이 족장회의(諸率會議)의 주재자는 王 자신이었다. 그러나 왕의 품격이 諸族長을 능가하는 존재로 격상되자 이전의 왕의 기능을 대신하면서 諸族長들의 이해관계를 조절하는 제도적 장치로서 佐平이 설치되었다. 이 좌평은 이전의 우·좌보를 개편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설치시기는 고이왕대였다.
좌평의 정치적 지위는 고구려의 國相(相加)과 같은 것으로서 諸率會議의 의장이었고 그 직능은 內外國事를 총괄하는 것이었다. 이 좌평에 임명된 인물은 왕족 및 중요귀족 출신들이었으며 기본적으로는 諸率과 성격을 같이하는 존재였다. 좌평의 員數는 처음에는 1인이었으나 관제의 정비과정에 따라 좌평이 官等名化하면서 그 員數도 5명으로, 뒤에는 6명으로 확대되었고 또 백제 귀족정치의 발달에 따라 최고 귀족회의를 구성하게 되었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