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마한소국에 대한 문헌자료
Ⅲ. 전남지역 마한소국의 위치에 대한 제설
Ⅳ. 전남지역 마한소국의 위치 비정
Ⅴ. 맺음말
요약
이 논문은 문헌에서 나타나는 마한의 소국 기록을 전라남도 지역에 국한시켜 그 위치문제를 점검해 본 것이다. 전남지역은 노령산맥 이북의 마한세력이 백제에 병탄된 뒤에도 늦게까지 그 잔여 세력이 남아 있었다고 볼 수 있는 곳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지역은 마한 문제에 있어서 중요하고도 독특한 연구의 테마가 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지역에 어떠한 마한 소국들이 분포해 있었는가 하는 문제는 마한 연구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어떤 새로운 설이나 결론을 도출한다고 하기 보다는, 기존의 견해들을 재정리하면서 전남 지역에 비정시킬 수 있는 마한 소국들의 단초를 찾는 데 목표를 두었다. 그 결과 전남지방에 莫盧國·古臘國·臨素半國·臣雲新國·如來卑離國·楚山塗卑離國·一難國·狗奚國·不雲國·不斯분邪國·爰池國·乾馬國·楚離國 등 13개의 소국을 비정할 수 있다고 보았는데, 이는 千寬宇 견해의 재론에 불과하게 되었다. 아울러 최소한 문헌사학계에서는 전남지역 마한소국 위치에 대한 천관우의 견해에 대해 아직까지 더 정치하고 구체적인 성과는 없다는 점을 재확인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아직은 이 설의 유용성이 있다고 여겨졌고, 나아가 고고학 쪽에서도 현재까지는 천관우의 설이 원용되고 있음을 확인하기도 하였다.
한편 전남지역의 마한세력과 관련하여 논란이 되는 『일본서기』 ``比利피中布彌支半古四邑``의 위치는 흔히 比利·피中·布彌支·半古 등 4읍으로 보아 전남지역에 비정하기도 하지만, 이는 ``比利· 피中·布彌·支半· 古四邑``의 다섯 개 지역으로 끊어 읽어, 전라북도의 부안·김제·정읍·고부 등지로 비정하는 견해가 타당성이 있다고 본다. (필자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