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중국 고대화폐의 유입과 유통
Ⅲ. 현물화폐의 유통과 재정
1. 현물화폐의 유통과 그 기능
2. 현물화폐와 재정 운영
Ⅳ. 고대의 금속화폐 사용 문제
Ⅴ. 맺음말
요약
전근대시기에 금속화폐의 사용여부는 상품 생산과 유통의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의 하나이다. 우리의 경우 통일신라 말까지 법정 금속화폐는 사용되지 않았는데, 여기에는 당시 유통경제의 수준과 함께 수취 방식, 재정 구조의 특성이 작용하고 있었다. 변·진한의 경우 철이 3세기 무렵 실질적인 현물화폐로 유통되고 있었고, 5세기 단계가 되면 규격성이 높아지고 소형·경량화 되면서 화폐로서의 기능이 한 단계 진전 된다.그리고 늦어도 6세기대 이래 곡물과 직물은 현물화폐로서 광범하게 유통되어 교환수단, 지불수단, 대부의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현실 때문에 국가도 이를 주요한 조세 품목으로 수취했다. 그리고 이를 재원으로 하여 관부와 녹읍을 받지 못한 관료에게 녹읍 폐지 후에는 전 귀족, 관료에게 축년사조로서 지급했다. 이들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품목을 국가가 지급할 수는 없었으므로 교환 가치가 높은 물품을 대신 지급했던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기본적인 생활물자는 물론 각종 행정 소모품과 생활용품을 관시에서 구입할 수 있었다. 왕경의 경우 관시의 주 고객은 녹읍이나 사영 공방을 경영할 수 없었던 중·하급 관료와 군관층이었다. 이들이 물품 구입을 위해 지불한 곡물과 직물은, 다시 관상이 판매용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각지의 생산자들에게 이를 지불함으로써 광범하게 유통되고 교환가치의 통용 범위도 학대되었다. 삼국 및 통일신라에서 포와 곡물을 중심으로 한 현물화폐는 일상생활에서 교환의 매개물로서 유통되었을 뿐 아니라 조세 수취와 지급의 대상물이 됨으로써 국가 재정 운영의 주요한 기제로 작동하고 있었던 것이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