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왜왕 책립설의 비판
III. 동성왕의 왜국에 대한 입장
IV. 새로운 대왜국관계의 모색 - 마나군·사아군 파견의 의미
V. 맺음말
요약
먼저 왜왕의 동성왕 책립은 주로 일본 학계에서 백제-왜 간의 상하 관계를 전제로 이해되는 경향이 강한대 腆支王에서 왕자 豊璋에 이르는 유사 사례를 모두 검토하는 방법으로 왜왕의 동성왕 책립 자체를 비판하였다. 두 번째 동성왕과 왜국의 관계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우호적이었을 것이란 관점이 지배적이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그렇게 항상 친밀한 관계로만 남아 있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음을 제기하였다. 특히 동성왕 말기에는 일시 왜국과 소원한 관계가 형성된 적도 있었으며 그 배후에는 나제동맹을 통한 신라와의 유착관계가 효력을 발휘하고 있었고 게다가 왜국 내부의 王系의 변화 및 정치적 불안이 가중된 사정이 작용하고 있었다고 필자는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무녕왕의 집권 초기에 나타난 사아군의 왜국 파견은 신라와의 대립 경향이 점차 싹트고 왜국 내부에서도 새로운 왕조의 출현이 가시화되자 신라를 견제하면서 다시 전통적인 왜국과의 우호관계를 회복시켜 백제의 대외정책의 기조를 계승할 필요성에서 나타난 왕족 외교의 재개였다. 사아군에 앞서 파견된마나군의 외교도 동일한 의도에서 나온 산물이었다. 그리고 이후 전개되는 양국 교류의 기본 형태는 주지하다시피 백제의 선진문물 제공과 이에 대한 왜국의 對백제 군사 지원 사이의 교환 관계로서 일종의 傭兵關係로 표현될 수 있는 방식이었는데 필자는 이러한 관계의 성립이야말로 백제의 對왜국 구상에서 나온 정책적 산물이 아니었을까 생각하며 또 이러한 관계가 성립되도록 양구의 매개 역할을 한 주역이 바로 사아군이었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