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方郡城制의 實施와 貢納支配의 淸算
III. 全南地域 再編과 土着勢力의 推移
IV. 맺음말
요약
백제가 전남지역을 경략하여 자국의 영역으로 확보한 것은 4세기 후반 근초고왕 때였다. 그러나 근초고왕의 전남지역 경략은 토착세력을 이용한 간접지배였다. 백제는 노령이북의 전북지역은 담로제를, 그 이남의 전남지역은 공납지배를 실시하였다.
전남지역의 토착세력들은 백제의 공납지배를 받으면서도 일정정도의 독자적인 발전을 지속하였다. 백제는 전남 서남부지역 해안세력의 대외교섭 거점을 직접 관리하거나 친백제세력에게 위탁하였고, 평야지대의 공물은 별도의 세력을 통하여 징수하는 간접지배를 실시하였다. 반남의 수장은 백제의 후왕적인 위상을 갖고 인적․물적 자원을 대신 수취하였다. 전남의 동부지역은 토착세력의 성장이 서부지역에 미치지 못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양상은 백제의 지배를 받게 된 이후에도 큰 변화 없이 한 동안 지속되었다.
백제는 6세기 중엽 방군성제를 실시하면서 전국에 지방관을 파견하여 직접지배를 실시하였다. 백제의 지방지배는 한 단계 더 발전하게 되었으며, 재지세력의 전통적인 기반이 해체되고 토착사회는 재편되었다. 토착세력 수장층은 전통적인 세력기반이 약화된 채 중앙에서 파견된 지방관을 보좌하는 하급 실무관료로 전락되었다.
백제는 지방조직의 편제에서 전정호구의 多寡라고 하는 보다 객관적인 기준을 마련하였다. 백제는 지방을 방군성제라는 하나의 체제 속에 일원화 하였고, 각지에는 지방관이 파견되어 중앙집권력이 한층 강화되었다. 백제는 간접지배를 지양하고, 그 외곽의 중소세력과 결합하면서 전일적인 지방지배를 관철하였다.
방군성제 실시는 제도상의 변화에만 그치지 않고, 전남지역의 경우 변방사회를 재편하려는 의도와 부합되어 실질적인 변화가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방군성제가 시행되면서 전남지역은 남방의 소속으로 편제되었다.
백제의 전남지역 통치의 구심적인 역할을 하던 반남은 일개 현으로 강등되고 말았다. 백제는 전남의 거의 모든 지역에 군과 성을 설치하여 직접지배를 도모하였다. 그러나 백제가 중앙에서 지방관을 전남의 전지역에 모두 파견한 것은 아니었다. 백제는 군과 전략적인 요충지에 위치한 지역의 성 정도만 중앙에서 관리를 파견하였다. 따라서 전남지역의 토착세력은 재래의 지배관계를 유지하면서 기득권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었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