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은 정치적으로 상호 대립하면서도 사회문화적으로는 협조적이었으며 중국의 발달된 사상이나 기술을 도입함에 상호 연계성을 가졌으므로 전반적인 체제나 생활이 비슷하였다. 삼국시대의 의정제도에 있어서 고구려에는 대의제도가 있었으며 백제에는 약부 아래 의박사 채약사가 있어 교육 및 질병치료를 담당하였고 주금사제도가 따로 있어 약과 침으로 치료되지 않는 질병과 정신질환을 관장했으며 신라에서는 약전제도가 있어 교육과 치료를 담당하였고 그 아래 침방이 있어 의를 보좌하였다.
중국과의 의약적 교류는 중국으로부터 발달된 서적들을 들여왔으며 이로인해 의학이론이 체계화되었고 치료술이 발달하였다. 또 약에 있어서 삼국의 우수한 약물을 중국에 수출하였고 중국으로부터 다른 약물을 들여오는 약물교류가 활발하였다.
삼국시대 의학은 유불도 삼교의 전래와 더불어 음양오행설, 인체사대구조설 등을 수용하여 생리 병리 치료 면에서 기본 이론뿐 아니라 치료술에서 향상을 가져왔다.
삼국시대 질병 발생에 대해서는 역이라 표현했으며 이 역은 온질이나 전염성 질환으로 천후 즉 지진의 발생, 대우, 대한, 일식 등과 관계가 깊고 당시 이에 대한 치료술이 발달하지 못해 상당한 사망자가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역법의 사용과 오성 패성 일식의 관측 등을 볼 때, 삼국시대 운기학은 상당 수준이며 후대 한국 운기학의 모태가 되어 의학 발달에 영향을 주었다.
삼국은 중국으로부터 받은 의학과 기존의 의학을 발전시킨 의학을 일본에 이식시켜 일본의학 발전과 질병치료에 기여하였다.
삼국은 독자적으로 고려노사방이나 백제신진방을 출간하여 자주적인 의학을 성립하는 토대를 마련하였고 후에 고려시대 향약발전에 도움을 주었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