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문제의 인식과 본고의 과제
II. 3~4세기 한반도와 일본 열도의 교섭
III. 5세기 한반도와 일본 열도의 교섭
IV. 6세기 한반도와 일본 열도의 교섭
V. 3~6세기 한일 교섭의 역사적 의의
요약
3~4세기 일본 열도의 금관가야산 문물과 김해 지역의 일본 열도산 문물로 볼 때, 한반도 침략의 논거로 제시되어온 광개토왕비 경자년조(400년)의 왜의 출병은 어디까지나 당시 고구려․신라와 대치하고 있었던 금관가야와 관련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5세기 전반 신라와 왜의 교섭은 금관가야가 쇠퇴한 후 종래의 적대적인 관계를 타개하려는 신라의 의도와, 철과 더불어 금공품과 같은 위신재를 확보하기 위해 새로운 교섭 상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였던 왜의 이해관계가 합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5세기 후반 대가야산 문물이 신라산 문물을 대신하여 일본 열도에 유입된 것은 대가야가 남해안의 제해권을 장악함으로써 백제와 왜 간의 교통뿐만 아니라 왜의 중국 교통에도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하였음을 보여준다.
6세기 초 일본 열도의 백제산 문물과 영산강 유역의 전방후원분을 근거로, 백제와 왜의 교류는 백제의 再興과 게이타이(계체) 왕조의 출현과 관련되는 것으로 보았다. 6세기 후반 신라가 남부 가야 제국의 병합을 통하여 남해 동부의 제해권을 장악하게 됨으로써 왜가 백제와의 교통이 어렵게 되면서, 신라와 왜간에 활발한 교섭이 이루어지게 된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