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송과의 문물교류와 양국외교의 성격
III. 남제·양과의 문물교류와 책봉호
1. 남제와의 교섭기사 분석
2. 양과의 교섭기사의 분석
IV. 맺음말
요약
관련사료의 분석 결과 백제는 송.제.양과의 교류를 통해 요노로 대표되는 신무기를 수입하여 고구려와의 무력충돌에 대비한다거나, 혹은 중국의 선진문물을 국가적 위상 제고에 이용하기도 하고, 중국의 조공책봉제도를 백제 국내 왕권기반과 연관하여 활용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한편 당시 양의 고구려왕에 대한 책봉호가 백제왕에 비해 낮아진 점은, 당시 중국대륙에서 안정적으로 국세를 자랑하였던 양의 입장에서 북위의 혼란이 상대적으로 고구려의 외교적 이용가치의 감소로 인식되고, 이러한 인식이 고구려왕 책봉호에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러한 백제와 송.제.양과의 외교내용을 볼 때, 백제는 송.제.양과의 외교관계를, 당시 당면과제였던 고구려와의 대결에 적극적으로 이용하려한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필자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