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백제의 절의정신의 原流
Ⅱ. 階伯의 비장한 충의정신
Ⅲ. 成忠의 충절
Ⅳ. 福信의 백제 부흥운동
Ⅴ. 都彌의 아내의 정절
Ⅵ. 백제의 절의정신의 역사적 의의
요약
본고에서는 계백․성충․복신․도미의 아내 등 백제인의 두드러진 충절과 정절의 실천례를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절의정신의 發露는 우리 민족의 고유의 절의 존중사상․결백정신을 표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 민족의 고유사상과 정신으로서 1. 숭천경조사상․경천애인과 홍익인간의 정신이 있었고, 2. 절의 존중사상과 결백정신이 있었다. 즉, 경천애인과 절의 정신 등 고유한 근원사상의 두 가지인 仁義는 결국 두드러지게 집에 들어와서는 부모에게 효도하고 나아가서는 나라에 충성하는 것으로 연면하게 계승되어 왔다. 그리고 두 번째의 절의정신에 의해서 우리 민족은 국난을 당하면 수많은 의병으로서 자진 참전하여 죽기를 두려워하지 않았고, 官에 나아가서는 청백리로서 私利를 멀리하고 公義를 존중하였다. 우리 민족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조말까지 931차례나 침략을 받았으면서도 대륙의 큰 세력에 병합되지 않고 끈질기게 의리와 정의의 굳은 의지로 민족의 주체성, 자주독립을 확보하여 왔다. 세계에서 드문 단일민족으로서 우수한 資質을 나타내고 있는 것도 우연한 일이 아니다. 우리민족은 실로 사회생활에서는 不純하고 불미한 행동을 배격하고 맑고 깨끗하고 공명정대하고 지조있는 결백한 생활을 숭상하고, 국가생활에서는 충절의 정신을 숭상한 까닭에 우리 역사상 많은 義士․烈士․烈女․충신을 배출하였으며, 반만년 동안 연면하게 국가를 보전할 수 있었다. 조선조말까지 선비에 대한 평가기준이 도덕, 절의, 학문, 훈업, 사환의 순서임을 볼 때 도덕과 절의를 예부터 얼마나 존숭하였는가를 짐작할 수 있다. 우리는 백제의 절의정신을 재조명하고 소중하게 재인식하여 오늘을 사는 현대인에게 좋은 교훈이 되기를 기대한다. (연구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