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2. 고대의 '이방인'
3. '백제군'과 일본율령국가
4. '고려군'과 일본율령국가
5. '신라군'과 일본율령국가
6. '집단거주지'의 의미 - 결론에 대신하여
요약
본고의 분석 대상은 8-9세기의 나라, 헤이안시대에 한반도인들이 집단거주하고 있었던 지역으로 보이는 백제군, 고려군, 신라군을 일본율령국가와의 관련에 의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관한 종래의 연구들은 대부분 율령국가 측의 입장을 중시한 나머지 백제군, 고려군, 신라군의 한반도계 유민들을 율령국가가 지배하고 관리하는 혹은 통제하는 시점으로만 보아 왔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에는 한반도계 유민들의 시점이 생략되어 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본고는 율령국가 측의 입장과 한반도계 유민 측의 시점의 양면을 들여다보는 즉, 다시 말하자면 단선적이고 일방향적이 아닌 복안적이고 쌍방향적인 시점에 서서 백제군, 고려군, 신라군이라는 집단거주지를 살펴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먼저 율령국가는 한반도계 유민들의 자국 내의 시스템을 인정했다. 즉, 율령국가는 백제, 고구려, 신라 내에서의 상하관계를 인정한 위에 이러한 질서를 일본 열도에서의 새로운 시스템에 적용시키려 노력했다. 이러한 실례는 한반도계 유민들의 ‘집단사성’의 측면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율령국가의 입장은 한반도계 유민들에 대한 본국에서의 지위를 인정하는 것이 그들에 대한 관리와 지배가 용이하다고 하는 통치 차원의 측면을 부정할 수 없겠지만 한편으로는 교류와 공존을 시도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교류와 공존의 흔적은 한반도계 유민들의 집단거주와 집단이주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백제군에서는 간무와 가타노 지역에서의 백제왕씨들을 중심으로 한 백제계유민들과의 접촉에서 엿볼 수 있다. 고려군에서는 고구려계 유민 중 큰 세력을 떨쳤던 복신이 연속해서 무사시국의 지방관에 연이어 취임하고 있는 것은 율령국가 측의 통치상의 필요도 있었을 것이지만 무사시국으로 집단이주를 통한 집단거주지 나름의 특수성을 인정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신라군은 신라어를 공유하는 신라계 유민들이 집단거주하고 있었던 집단거주지에 다름 아닌데 역시 이곳에서도 율령국가의 통치라는 측면이 아닌 신라계 유민들과의 교류와 공존의 흔적이 보이는 것이다. (연구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