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序言
Ⅱ. 帶山城 전투와 百濟의 加耶進出
Ⅲ. 新羅法興王代의 加耶政策
Ⅳ. 安羅加耶를 둘러싼 百濟ㆍ新羅의 外交戰
Ⅴ. 結語
요약
5세기말에서 6세기전반대의 가야사 위치는 신라, 백제의 국가적 성장과 팽창에 의해 양국에 병합되어가는 연속의 역사였다. 5세기 후반 반파라고 불린 대가야의 성장은 백제의 남하정책에 의해 섬진강 방면의 자국 세력권의 대부분이 백제에 의해 흡수되어버린다. 신라와의 신속관계의 성격을 띤 결혼동맹으로 인하여 신라의 정치 군사적인 공세에 시달리게 되는 등 대가야의 가야연맹의 맹주로서의 지위는 사실상 이 시점에서 종말을 맞이하게 된다. 나부가야에서는 남부가야의 맹주격인 금관가야가 지배층 내용에 의해 신라에 병합되어 가야연맹을 이끌어 나갈 남북 두 구심세력은 와해상태에 빠진다. 바로 이 시점에서 가야제국의 독립을 표방하고 적극적 국제외교를 시도했던 것이 함안의 안라가야였다. 안라가야는 가야제국의 독립 보존을 위해 국제회의를 주재하였으나 백제의 거센 외교공세에 결렬되었다.
안라회의에 참석한 근강모야신은 일본서기에 임나부흥회의 주재자이며 임나지역의 집정관적 인물로 묘사되는데 이를 통해 임나일본부의 실태를 파악하려는 것이 일본학계의 연구동향이다. 그러나 모야신 전승기록에서 사실성을 인정할 수 있는 것은 남가라 멸망 직후 안라에 의해 동국에 입국한 것 만이고 그이 행동양식도 안라지배층의 정치적 질서하에 규제된 것이다. 일본서기에서는 그를 신라상신 이사부의 전승기록과 조합시켜 다다라 등 4촌이 이사부에 의해 경략된 것을 모야신의 실정 탓으로 돌려 왜왕권의 지배권이 미친 사실을 위치시켜 놓았다. 모야신 고유의 전승기록과는 동떨어진 서기편자의 편찬 이데올로기에 의해 윤색 조작된 기록인 것이다.
안라의 독립 움직임은 이를 허용치 않으려는 백제, 신라의 군사 및 외교적 공세에 상당한 타격을 입고 지배층 내 분열, 이반이라는 요인도 있었다. 550년대 사실상 신라의 종속 하에 놓여 가야 독립운동은 종말을 고하고 가야연맹은 해체한다.
6세기이후 멸망에 이르기까지 안라의 역사는 백제, 신라의 정치, 외교, 군사적 외압과 이에 대한 대응의 시대였다. 백제, 신라, 안라, 왜의 4국 관계 검토시 기존 임나일본부설은 성립하기 어려운 것이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