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머리말
2. 고이계 왕실의 성립
3. 고이계 왕실과 대방군의 제휴
4. 대방군의 소멸과 근초고왕의 집권
5. 맺음말
요약
시조 온조왕대부터 이어온 백제 왕계는 부여씨 왕실이 고이계에 의해 우씨로 교체가 되며 다시 근초고왕대에 부여씨로 되돌아 가고 있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고이왕은 초고왕과 형제로 표현되어 이러한 왕계 변화는 쉽게 초고계와 고이계로 구분할 수 있다. 초고계와 고이계의 왕계 변화는 서로 다른 세력에 의한 연맹체 내에서의 왕위 계승으로 보는 것이 옳을 듯하다.
백제 초기 왕실 교체를 단행한 고이왕 세력은 임진강 유역과 관련하여 우태-고이계 세력으로 이해되며 대내적인 이유로 진씨 세력은 고이계의 왕실 교체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 후 비류왕에 의해 왕실 교체시에는 잠시 그 세력을 잃었다가 다시 근초고왕의 왕실 통합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며 등장하게 된다. 대외적인 이유로 대방군은 공손씨의 멸망, 위의 동방정책의 변화와 동위교위부 등의 설치, 고구려의 압박 등으로 인해 존립 마저 위기를 맞게 된다. 이로 인하여 자체적으로 생존의 길을 모색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대방군은 백제와의 관계 개선을 모색하였다.
이는 백제가 왕권을 장악하고 안정시킬 수 있는 큰 영향력이 되었으며 국제적으로도 마한 제국 사이에서 우세를 점할 수 있는 군사적 이점으로도 작용하였다. 고이왕은 대방군과의 관계 개선으로 인하여 군사적인 이점 뿐만 아니라 선진문화의 도입과 그로 인한 체제 정비로 인하여 한강유역에서 백제의 확고한 입지를 다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고구려에 의한 대방군의 멸망과 잦은 전쟁으로 인해 고이왕 세력은 쇠퇴하게 되고, 백제의 왕실은 다시 비류왕으로의 교체와 계왕의 짧은 재위 기간을 거쳐 근초고왕에 이르러 결국 초고계로 통합되기에 이른다.
근초고왕 이후 백제 왕실은 근구수왕에 이르기까지 초고계임을 강조하여 그동안 내부적 혼란을 겪어 오던 왕계의 정통성을 확립하려 하였다. 내부적 혼란을 해결하기 위해 대외팽창 정책을 추진하였고 이로 인하여 귀족 세력의 견제와 왕권강화를 이루게 된다. 근초고왕은 일부 고이왕 세력을 비롯하여 진씨 세력 등도 흡수 통합하였다. 그리하여 대방군과의 관계 속에서 얻은 각종 기술ㆍ문화 등을 유입할 수 있었는데, 특히 대방군 멸망 후 유이민 세력의 유입은 결정적이었다. 이러한 과정속에서 백제는 고대국가로의 입지를 확고히 하게 된 것이다. (필자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