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문학의 외적 요건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한반도 서남지역의 약 9세기 동안의 문학적 현황을 공시적, 통시적 방법으로 시대구분할 수 있는 용어로는 그 특수성에 비추어 아직은 ‘백제’라는 왕조명칭이 통용될 수밖에 없다.
2. 백제문학의 주요 사상적 배경으로 무격신앙, 유교, 불교 등을 들 수 있는데 女巫들의 집단연출일 것으로 생각되는 강강수월래나 부녀자들의 致誠풀이 등에서 「정읍가」와 같은 달노래나 망부가 등의 淵源的 深遠性을 알 수 있다.
3. 백제인은 본시 유학의 융성함을 포용할 소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한자 전래와 함께 본격적인 유학사상이 전파되어 백제문학, 특히 한문학의 題材와 그 문체에 깊이 상관하게 되었다. 개로왕의 표문, 견훤의 간찰, 성충의 상소문, 지리산가의 정렬관, 흥수, 계백 등의 최후, 궁녀들의 投死岩傳說, 백제부흥군의 활동 등이 이를 말해주고 있다.
4. 백제불교는 왕즉불의 북방불교였기 때문에 동진과의 우호관계는 물론 문화적 욕구를 동시에 충족시켜줌으로써 왕권강화에 공헌을 했는가 하면 『위서』, 『백제본기』 등에 실려있는 외교문 가운데서 보는 불교적 분위기의 유려한 수사와 백제 노재상 사택지적의 堂塔讚揚銘文 등은 당시대에 보기 드문 뛰어난 騈儷體의 문학작품으로 남아 있는 것이다.
5. 백제문학의 지리적 배경은 삼면의 바다와 내륙의 사계 변화에 따라 서정적 풍요의 요건이 되었고, 지명과 산명을 歌名으로 하면서 향토적 정서를 획득함으로써 전통의 기반이 된 것이다.
6. 백제의 건국 시기는 神話不姙期였기 때문에 王權强化說話 등 전설적 요소로 대체된 굴절, 축소형의 모형을 보여 준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