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의 불교수용에 대해서 정치변동과 짝하여 해씨의 동향에 주목하였다. 웅진시대의 불교에서는 귀족간의 갈등과 이를 해소하려는 사상적 내용으로 법화사상을 주목하였다. 그리고 사비시대 성왕대 불교에서는 본격적으로 왕권의 강화를 추진해나가는 면을 공덕부와 전륜성왕사상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먼저 한성시대 불교수용과 정치변동에서는 해씨의 동향에 주목하였다. 논의의 출발은 전지왕대 “八須夫人生子尒辛”을 낳았다는 기사의 해석에서 시작하였다. 아신왕이 왕위에 오르는데 해씨가 일정한 역할을 했으며 이에 힘입어 팔수부인이 전지의 태자비가 되었다. 아신왕대 불법을 믿으라는 시책은 해씨의 주관하에 진행되었고, 침류왕대 불교수용은 해씨의 세력기반이 서해안이라는 점에서 해씨와 연관을 맺었다.
왕실과 해씨를 중심으로 한 불교수용은 당시 진씨세력 중심의 정치 상황이 해씨 중심으로 변화한 것과 짝하여 이루어졌다. 이는 외척으로 일정하게 왕권을 보좌한 진씨세력이 커짐으로써 오히려 왕권이 제약받는 상황에서 해씨를 끌어들여 왕권의 안정을 기하려고 한 목적이었다. 특히 불교수용을 계기로 왕위계승이 부자상속으로 고착화되었고, 이는 왕실의 안정에 기여하였다.
정치체제와 관련하여 왕은 상좌평에게 귀족회의의 주재를 맡김으로써 왕 자신은 귀족과 다른 우월적인 입장에 처할 수 있었다. 그런데 내법좌평인 해수가 상좌평에 임명된 것은 불교수용과정에서 내법좌평의 역할이 컸음을 나타낸다.
웅진시대 사씨는 사비에 세력기반을 두었는데 특히 사비천도에 대한 후원세력으로 기능하였고, 사상적으로는 법화사상에 기울고 있었다는 것을 밝혔다. 법화사상이 주목을 받은 것은 웅진천도 후 제기된 제세력들의 갈등을 해소하려 한 의도에서였다.
사비시대 불교에 대해서는 공덕부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공덕부의 역할은 왕실사원의 관리뿐만 아니라, 호국도량과 기우도량의 개설, 율과 승관제의 정비였다.
사비시대 불교의 결론적 성격으로 『법화경』을 중심으로 전륜성왕사상을 살펴보았다. 성왕은 전륜성왕으로 자처하였고 전륜성왕의 아들인 대통지승여래를 모시기 위하여 대통사를 지었다. 성왕의 아들인 위덕왕은 전륜성왕의 손자에 해당되는데 위덕왕은 출가 대신 절을 짓고 도승시키고 있다. 이러한 『법화경』을 중심으로 한 체계적인 전륜성왕사상은 왕을 중심으로 한 불교적 세계관을 형성하여 왕권의 절대성을 확립하였고 또한 법화사상의 일승사상을 중심으로 귀족과 민을 포용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