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출가위승과 득도위승
III. 위덕왕대의 도승
1. 도승기록의 분석
2. 위덕왕의 출가발언과 제신
IV. 법왕대의 도승
1. 금살생령과 왕흥사 창건
2. 칠악사 기우제와 불교대중화
V. 맺음말
요약
이 글은 百濟 사비기에 있어 度僧이라는 불교정책이 일반 백성에게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알아보고 있다. 이와 더불어 불교의 대중화 과정에서 度僧도 일정한 역할을 하고 있음도 살피고 있다. 이는 度僧이 일반 백성까지 그 대상으로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착안하였다. 그리고 度僧이 실시되는 과정에서 전개되는 정치적 상황도 함께 고찰하고 있다. 度僧이 실시된 배경에는 다분히 정치적인 이유도 담겨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度僧은 타율적ㆍ강제적인 성격을 가지고 국가 정책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度僧은 그 대상을 살펴볼 때 국가차원에서 이루어진 일반 백성에 대한 위무의 기능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威德王代에 실시된 度僧은 威德王파 諸臣간의 타협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諸臣 가운데는 불교옹호세력과 聖王代에 전제왕권의 구축과정에서 활동한 측근세력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威德또은 또한 度僧과 더불어 능산리 사원을 창건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사리감을 안치하고 있다. 佛舍利信仰과 연결되는 사리감은 威德王이 왕권회복을 위해 노력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처럼 度僧과 능산리 사원의 창건이 연결되고 있는 만큼, 度僧은 威德王이 왕권의 회복을 위한 노력의 과정 중에서 실시한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法王代 실시된 度僧은 威德王代에 실시된 것과는 성격을 달리한다. 法王代의 度僧은 法王의 결정으로 실시되었기 때문이다. 法王代의 度僧은 禁殺生令ㆍ왕흥사의 창건과 일정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法王이 칠악사에서 기우제를 지내고 있는 것은 일반 백성들까지도 기우제의 형식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것은 이미 이 시대에 佛敎가 대중화되어 있었음을 의미한다. 度僧은 佛敎의 대중화과정에서 일정한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度僧은 일반 백성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이 이를 뒷받침해준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