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머리 말
2. 법화신앙의 유입
3. 백제 법화신앙의 유행
4. 백제 법화신앙의 내용
1) 관음 영험신앙의 유행
2) 법화삼매에 대한 관심
5. 법화신앙 유행의 의미
6. 맺음 말
요약
백제불교의 특성으로 지적할 수 있는 미륵신앙이나 계율 및 법화신앙 등의 내용은 대체로 웅진시대 이후의 사실을 담은 것이다. 공인이후 한성시대 백제불교의 사상이나 신앙을 알려줄 기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 한성시대 백제가 왕실중심으로 중앙집권적 귀족국가 체제를 정비하면서 웅비하려던 모습 속에 미륵신앙이나 계율을 강조하는 불교 신앙이 자리하고 있었다. 반면 법화신앙은 초기의 국가불교 속에 존재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라 하더라도 웅진시대 이후에 크게 유행하였다.
이 글에서는 백제 법화신앙이 유행한 모습을 사실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해 삼국사회에 법화신앙이 유입되는 과정을 살피고, 백제 법화신앙이 관음 영험 신앙을 깔면서 법화삼매를 추구하는 내용을 지적하였다. 그리하여 『법화경』의 안락행품을 중시하면서 갖추어진 백제의 법화신앙은 보현을 내세우는 신라의 법화도량과는 다르게 된다. 이어서 백제 법화신앙을 법화의 보현도량이나 천태결사 등과 비교하여 한국불교사에서의 위치를 설정하는 한편, 웅진시대 이후 백제의 사회상황 속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