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머리말
2. 薯童(武康王) 說話의 여러 各篇(version) 검토와 그 배경지 益山
3. 百濟 武王代 馬韓 薯童(武康王) 神話 수용과 후대의 변용
4. 마한 토착신앙 祭場의 백제 불교화와 益山 彌勒寺
5. 마무리
요약
본고는 역사적 인물이 신화 속의 인물로 부회되어 나타난다는 엘리아데의 ‘歷史的 人物의 神話化’라는 이론에 따라 薯童 說話가 담고 있는 이면의 역사와 사상을 복원 하려고 시도하였다. 이에 따라 『舍利奉安記』에 나타나는 沙宅積德의 딸이라는 역사적 事實과 『三國遺事』의 서동 설화에 나타나는 善花公主를 동일한 사건의 인물에 대하여 다른 각도에서 표현된 各篇으로 보아, 두 기록의 내용을 모두 事實로 인정하여 서로 병렬되어 일어난 사건으로 보지 않았다. 다만, 두 기록에서 모두 왕과 왕비(사택적덕의 딸 혹은 선화공주)가 함께 발원하여 가람을 조영하고 있다는 공통점에 주목하여 이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중요한 것은 두 기록의 모순을 시간의 병렬에 따라 나열하여 해결하려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과는 거리가 멀게 보일 수도 있는 서동 설화가 왜 등장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인문학적 검토인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익산 지방이 마한의 중심지였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지역에서는 뛰어난 인물에 대한 기억이 ‘역사적 인물의 신화화’에 따라 마한을 세운 인물로 알려진 무강왕과 관련된 영웅신화로 환원되었을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백제 무왕이 바로 여기에 부회된 역사적 인물로 보았다. 그리고 이처럼 마한의 무강왕신화가 백제 무왕의 서동 설화로 재탄생되어 나타난 것은, 무왕을 전후한 시기에 백제가 마한의 신화를 받아들여 그들을 포용하려 했던 점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익산 미륵사 역시 마한 토착신앙의 祭場에 백제 불교의 제장을 세워 그들을 정신적으로 아우르려는 시도로 파악하였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