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백제의 성장과 한반도 서남해안 항해로의 장악
Ⅲ. 백제의 교역과 그 정치적 영향력의 확대
Ⅳ. 웅진·사비시기 백제 교역체계의 재편
Ⅴ. 맺음말-流通手段 문제를 附言하며
요약
일찍부터 해상교통을 가능하게 한 지형적 특색 속에서 한반도의 서남 지역을 무대로 성장 백제는 4세기 중엽 마한 전역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고 중국대륙과 한반도 서남해 지역 및 일본열도를 잇는 교역로 장악을 위해 낙동강유역에 진출하여 구야한국이 장악했던 교역중개지 위치를 독점하였다. 이후 동진과 교섭을 통해 국제적 지위를 확보하였고 백제왕은 자국 영내와 그 영향권내 세력들의 교역을 통제하여 그들을 지배하는 힘을 얻고자 하였다. 또 교역품 분여를 통해 권력 범위를 확대 및 강화시켰고 이 같은 방법으로 왜까지 정치적으로 예속시켰다.
일본열도에는 일찍이 백제계 주민들의 광범위하게 진출하였고 백제 귀족들은 이들과 연계를 맺으며 해외의 경제적 기반을 구축하였다. 이는 호족연합체인 대화정권의 대백제정책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한성기 백제왕권은 왜와 연결된 귀족들의 분산적 경제적 기반 등으로 귀족권을 압도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개로왕이 유력귀족을 숙청하고 친위체제로 강력한 왕권을 구축하고 일본열도 내의 분산적 교역망까지 장악하여 일원적 교역체계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한성함락 후 고구려 수군의 항해로 봉쇄로 대중국교섭이 일시 중단된 위기도 있었다.
웅진시대 백제는 중국 남조와 교역에 열을 올렸는데 대체로 한강유역 상실로 인한 취약한 문화적 기반을 극복하고 그것으로써 왕실 권위 회복을 위한 측면이 강하였다. 그리고 남조의 물품을 왜에 재수출하는 형식으로 대화정권의 호족들에게까지도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6세기 중반 백제는 대남중국 교역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동남아 교역로를 개척하게 된다. 백제 교역은 권력 범위의 확대라는 정치적 성격이 강했던만큼 왜세력을 영속적으로 영향권 내에 묶어두어 동북아시아의 정치적 관계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해서 그 교역품의 질적인 전환이 뒤따라야 하기 때문이다. 백제는 제주도, 구주, 인도지나반도를 잇는 거대한 국제적 교역망을 갖추었고 이러한 교역체계는 정치적 문제뿐 아니라 문화의 세련도를 높이는 국제성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아울러 교역품 생산하는 수공업 발달을 촉진시키는 한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