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I. 삼국통일전쟁인가, 백제병합전쟁인가
II. 일통삼한의식은 신라 지배층의 허위의식인가
맺음말 - 신라통일론은 식민사학의 소산인가
요약
7세기 전쟁에 대한 김영하교수의 비판을 필자가 재비판하였다. 김영하 교수는 백제통합전쟁, 필자는 삼국통일전쟁으로 보았다.
백제통합전쟁으로 보는 견해는 고구려의 옛 지역에 고구려유민이 따로 발해를 세웠다는 사실과, 신라의 삼국통일을 강조하면서도 발해도 우리 역사라는 이중선의 추구는 논리에 맞지 않는다는 점을 들고 있다. 이에 반해 필자는 신라의 통일이 영토적 불완전성을 지녔지만, 통일국가임을 내세우려는 신라 조정의 논리는 일정한 실제적 의미를 지닌 것으로 보아 삼국통일전쟁으로 규정하였다.
삼한일통의식에 대해서도 김영하교수는 처음의 삼한은 마한, 진한, 변한을 통칭하는 뜻이었으며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한은 7세기 말 정치 외교적 전개 과정에서 파생된 일종의 허위의식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필자는 마한, 진한, 변한의 삼한이란 집단적 정체성 자체를 뚜렷히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논지의 첫 발부터 문제가 된다고 보아 7세기 후반에 등장하는 삼한일통의식의 삼한은 삼국을 의미하고, 이것이 구체적으로 형성된 결정적 계기가 삼국통일전쟁이었고, 이 전쟁이 낳은 주요한 역사적 성과물이라 보았다.
마지막으로는 신라통일론이 식민주의 사학의 유산이라는 견해에 대해서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보았다. 신라통일론이 발해사를 배제하고 한국사의 공간을 반도 내에 한정함으로써 식민사학의 논거를 제공하였다고 생각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지리결정론에 따른 그릇된 가정에 입각해 역사 풀이를 하여 오류를 범한 것으로 보았다. (연구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