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삼한시대에 존재하였던 읍락 거수의 실체와 정치적 성장과정을 중심으로 고찰하면서, 초기국가를 이끌어 갔던 지배권력의 집중화 양상을 조감해 보았다. 첫째, 관련된 용례를 살펴보면, 읍락의 수장층은 그들이 처한 역사적 조건에 따라서 명칭을 달리하였다. 夫餘와 高句麗같은 聯盟王國 체제를 갖추면서 연맹왕을 중심으로 중앙에 진출한 大加와 小加처럼 諸加로 편제되는가 하면, 大加의 家臣 및 읍락의 豪民으로 분화되어 갔다. 둘째, 읍락 거수의 성장은 곧 그가 차지하는 정치적 위상의 강화로 나타난다. 읍락사회는 그 안에 사회적인 신분 면에서 서열이 존재하는 불평등 사회로서 渠師層과 邑落民으로 계층분화가 이루어졌으며, 읍락의 거수는 제정일치의 지배자로서 종교적으로 부락제를 주관하고 읍락 내의 경제적 생산과 재분배 및 읍락 간의 물자교환을 통제하였다. 셋째, 小國은 國邑과 주변 邑落으로 구성되었는데, 國邑의 主師는 邑落의 渠師가 갖는 정치적 위상보다 일층 성장한 모습을 보인다. 넷째, 大國인 소연맹국의 국읍에는 정치적 지배자인 主師와 함께 제사장인 天君이 존재하여 제정분리가 이루어졌다. 小國에 비해 大國은 그 안에 별읍으로 파악된 세력단위를 편입하는 과정에서 복속된 지배세력 가운데 일부는 국읍으로 받아들여 소연맹국의 지배기반을 넓혀 갔다. 다섯째, 東夷傳의 기록에 보이는 三韓의 社會相을 염두에 두고 이 지역의 읍락 거수가 성장하여 분화된 양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소연맹국의 지배자로 상위에 위치한 존재로는 金印을 소지할 수 있었던 臣智나 縣侯로 나타나는 主師를 꼽을 수 있으며, 辰王과 같은 인물은 이들 大國의 지배자 가운데 최상위에 속한다. 그 아래에는 이전에 小國을 영도하던 國邑의 主師로서 이들의 세력단위는 소연맹국에 편입되면서 별읍으로 파악된 정치체였다. 이들은 銀印을 소지하면서 소연맹국의 정치에 일정하게 참여하여 國邑의 主師를 보좌하는 역할도 수행하였다. 여섯째, 三韓의 大國이 聯盟圈域을 확대하면서 성장한 모습은 부여와 고구려 연맹왕국 체제를 통해서 찾을 수 있다. 소연맹국 내의 거수층은 자신의 세력기반을 떠난 왕경에 거주하면서 연맹왕국 아래의 귀족층인 諸加로 나타난다. 諸加는 다시 大加와 小加로 구분되는데, 소연맹국의 지배자가 대가로 편성되었다면, 소가는 소국이나 읍락 단위의 거수들 가운데 중앙에 편제된 존재였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