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언
II. 왕족외교의 성립과 배경
III. 왕족외교의 전개
IV. 왕족외교의 성격
V. 결어
요약
백제의 대왜왕족외교의 배경과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백제와 왜국은 국교의 성립에서 멸망에 이르기까지 유례없는 친연관개가 지속될 수 있었던가 하는 최초의 의문은 왕족을 전면에 앞세운 백제 특유의 외교전술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라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그럼 왜 백제가 왜국에 대해서만 이러한 외교방식을 취했던가 하는 의문은, 끊임없이 반복되는 한반도의 전란의 와중에서 백제는 자국의 확실한 동맹세력은 바로 왜국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한반도제국 중에서 단일국가를 형성하지 못한 가야제국을 제외하고는 고구려․백제․신라가 제각기 지역적 기반을 갖고 고대국가를 형성해 나가며 7세기후반까지 독자적 발전을 이룩해 나갔다. 그러나 왜국은 4세기말 이후 기내의 왜왕권의 압도적 우세 속에 6세기 이후가 되면 지방세력을 제압해 나가면서 6세기중후엽이 되면 외교․군사권은 사실상 왜왕권의 독점적 체제가 된다. 왜왕권의 빠른 성장과 통합권력을 백제는 과소평가할 수 없었다고 보이며 긴박하게 돌아가는 국제정세 속에서 왜는 매력적인 군사파트너로서 인식되었던 것이다. 근초고왕 이후 백제는 동진과 남부가야 그리고 왜를 잇는 동아시아 통교망을 구상하였으며 4세기말 광개토왕의 남정은 이를 실현하는 직접적 계기가 되었다. 이는 남진하는 고구려세력에 대항하고 서진해 오는 신라를 견제하기 위한 백제외교의 출발점이 되었던 것이다. 이렇게 하여 시작된 백제의 왕족외교는 백제국이 위기에 빠지는 주요 시기마다 차기왕위계승자 혹은 최측근 왕족들을 파견해 왜왕권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것이다. 이들의 장기체제는 바로 왜 조정 내부의 친백제인사들을 심어놓기 위한 백제의 장기적 전망속에서 나온 외교전략이었다. 이들 백제왕족들은 때론 인질로도 인식되었으나 이것은 오히려 왜왕권의 자존의식을 만족시켜주는 결과가 되어 친백제노선을 유지시키는 일이 되기도 하였다. 5세기 대 남조와의 통교가 단절된 후 왜왕권에 있어서 백제는 남조의 선진문물을 맛볼 수 있는 유일한 루트였고 왜국의 문화적 후진성을 극복할 수 있는 기회였던 것이다. 7세기 후반에 동아시아를 지배하려는 당제국의 거대한 군사력을 상대로 왜왕권의 출병을 단행한 것은 여러 요인이 있었겠지만 백제의 왕족외교가 그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연구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