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국가 간 주민이동의 양상은 정치적 이유에 따른 개인적 이동을 제외하면 기근발생에 따른 재난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진행된 이동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 같은 이동이 백제로부터 신라, 고구려 등의 나라로 이동한 것이 사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점이다. 이 같은 현상은 두 가지 가능성 즉, 각 국가의 포섭범위의 확대관념에 따른 변경지역의 半獨立的 定置集團의 이동을 관련국가의 소속원으로 포괄하여 이해하여 발생한 현상과 국가의 재난민 구호책 및 통제력의 미약에 따른 주민이동의 가능성을 상정하여 검토해 보았다. 우선 流亡民의 발생은 춘궁기와 가을 추수기에 임박한 시점에서 발생한 한재와, 수재 및 기타 흉작이 초래된 상황에서 국가적 지원이 미약한 상황에서 주민이동이 발생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遼境地域의 주민들의 속성이 기왕에 존재하였던 半獨立的 定置集團의 속성 즉, 상황변화에 따라 주변세력과의 연계를 수시로 집단의 이익과 연결시켜 바꿀 수 있는 특성이 나타났다고도 생각된다. 결국 이들의 이동은 단순한 이재민의 이동이라기보다는 정치적 연대변화에 기인한 귀속집단 변화의 일단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이들 타국으로의 이주민들은 기존의 생활근거지 이동에 따른 결과로서 기존 共同體의 不在와 생산활동의 기반인 土地의 非所有라는 상황에 의해 오히려 기왕의 사회적 위치보다도 더욱 저열한 수준의 존재 즉, 일반민 신분보다 아래인 隸屬民 또는 그 이하의 존재인 奴婢的 存在로 몰락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존재로 위치케 되었다고 파악된다. 이들은 기존 공통체로부터 단순히 분리된 타국유망민과는 달리 기존공동체의 현실적인 敵으로 변화되었다는 점에서 국가에는 실질적 위협이 되었으며 이들에 대한 대책이 강력하고 엄중하였음은 관련사료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이들 존재들의 성격은 백제 초기와 웅진천도가 진행된 백제국세 위축시기에 존재한 백제에 대립적인 백제내부 또는 주변의 정치세력집단에 대한 표현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상정해 보았다. 이 같은 성격이 백제사회에서 특히 부각된 것은 백제의 지방통치체계의 특성으로 나타난 地方勢力들의 獨立性과 연결된 것으로 이해되며 차후 이 같은 관점에서 백제의 지방통치의 양상과 특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