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문헌

고구려 고분벽화와 신라·백제·가야 고분벽화에 관한 비교연구(高句麗 古墳壁畵와 新羅·百濟·伽耶 古墳壁畵에 관한 比較硏究)

  • 분류 고고·미술 > 분묘
  • 권호수 제4집
  • 저자 이은창
  • 발행일 1997년 12월
  • 게재지 고구려발해연구
  • 발행처 고구려발해학회

목차


Ⅰ. 序言
Ⅱ. 壁畵古墳 分布上의 比較
Ⅲ. 古墳壁畵의 內容과 思想의 比較
Ⅳ. 結論

요약

한국 벽화고분은 고구려, 신라, 백제, 가야 등 각 지역에 축조되었다. 이들 벽화고분중 고구려의 벽화가 가장 일찍이 화려하게 발전하였다. 고구려의 古墳壁畫는 韓國 固有의 傳統的 文化, 中國傳來의 漢族的 文化, 西域傳來의 佛敎的 文化 등을 수용 융합하여 선구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그 후 고구려 고분벽화의 영향을 받아 新羅, 百濟, 伽耶의 고분 벽화가 상호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형성발전하였다. 1. 고구려 고분벽화는 신라, 백제, 가야의 고분벽화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맺고 있다. 첫째, 新羅의 古墳壁畫는 고구려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서 高句麗的인 傾向이 농후하다. 둘째, 百濟의 古墳壁畫 역시 고구려의 系譜로 이어지나 中國의 南朝文化를 수용하고 있어서 비교적 中國 南朝的인 경향이 강하다. 셋째, 가야의 고분벽화는 中國南朝文化樣式系의 百濟古墳壁畫의 계통을 이어 받아 발전하였다. 2. 韓國南部地方의 신라, 백제, 가야의 古墳壁畫는 고구려 古墳壁畫와 系譜를 같이 하면서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발전을 하였다. 첫째, 신라의 於宿知述千墓와 己未銘墓 등의 고분벽화는 신라의 北端에 위치하여 고구려 계통의 벽화를 직접 받아들여 이를 新羅化하여 土俗的이고 土着的인 壁畫文化를 형성하였다. 둘째, 백제의 宋山里 6號塼築墳, 武寧王陵, 陵山里 東下塚 등의 고분벽화는 고구려의 고분벽화와 계보를 맺으면서 한편으로 中國 南朝文化의 영향을 받아들여 이를 융합한 독특한 문화를 전개하였다. 셋째, 伽耶의 高靈 古衙洞의 고분벽화는 고구려나 신라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으며, 고구려와 중국 남조의 문화를 융합하여 독자적으로 발전한 百濟古墳壁畫의 계통을 계승하고 있다. 3. 한국고분벽화는 고구려, 신라, 백제, 가야 등이 나름대로 상호 계보 관계를 맺으며 그 地域的인 獨自性과 特異性을 발휘하며 형성발전하였다. 그리고 日本에 전수되어 직접 혹은 간접으로 관계를 맺으며 日本의 古墳壁畫와 製飾古墳으로 발전하기에 이르러 마침내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古墳壁畫文化圈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필자 맺음말)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문헌 > 정치·외교 광개토왕대 고구려와 백제의 관계(廣開土王代 高句麗와 百濟의 關係)
    • 발행처고구려발해학회 
    • 저자박찬규 
    • 발간년도 
    • 게제지고구려연구회 학술총서 제3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6~7세기 고구려와 백제의 상호관계
    • 발행처고구려발해학회 
    • 저자김주성 
    • 발간년도 
    • 게제지고구려발해연구 제20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고구려와 백제의 대립과 동아시아 세계(高句麗와 百濟의 對立과 東아시아 世界)
    • 발행처고구려발해학회 
    • 저자이도학 
    • 발간년도 
    • 게제지고구려발해연구 제21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고구려와 백제의 출계 인식 검토(高句麗와 百濟의 出系 認識 檢討)
    • 발행처고구려발해학회 
    • 저자이도학 
    • 발간년도 
    • 게제지고구려발해연구 제20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려·제전쟁사의 재검토(麗·濟戰爭史의 再檢討)
    • 발행처고구려발해학회 
    • 저자박경철 
    • 발간년도 
    • 게제지고구려발해연구 제24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문자자료를 통해서 본 중국과 삼국의 서사문화 교류(文字資料를 통해서 본 中國과 三國의 書寫文化 교류)
    • 발행처고구려발해학회 
    • 저자고광의 
    • 발간년도 
    • 게제지고구려발해연구 제30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고구려의 대왜외교와 동해교섭로 : 6세기 후반∼7세기 초 고구려·왜·백제 3국의 상호전략에 대한 재검토를 겸하여(高句麗의 對倭外交와 東海交涉路 : 6세기 후반∼7세기 초 고구려·왜·백제 3국의 상호전략에 대한 재검토를 겸하여)
    • 발행처고구려발해학회 
    • 저자이성제 
    • 발간년도 
    • 게제지고구려발해연구 제43집 
    자료카드
  • 문헌 > 종교·사상 일본 궁기현 남향촌 신문신사의 백제왕전설과 비단묵서(日本 宮崎縣 南鄕村 神門神社의 百濟王傳說과 緋緞墨書)
    • 발행처고구려발해학회 
    • 저자박찬규 
    • 발간년도 
    • 게제지고구려발해연구 제3집 
    자료카드
  • 문헌 > 기타 고구려의 편사사업과 백제·신라·왜(고구려의 編史事業과 백제·신라·왜)
    • 발행처고구려발해학회 
    • 저자고관민 
    • 발간년도 
    • 게제지고구려발해연구 제21집 
    자료카드
  • 문헌 > 기타 능침제도를 통해 본 고구려, 백제 능사의 성격과 특징(陵寢制度를 통해 본 高句麗, 百濟 陵寺의 性格과 特徵)
    • 발행처고구려발해학회 
    • 저자양은경 
    • 발간년도 
    • 게제지고구려발해연구 제47집 
    자료카드

'이은창'님께서 발행한 자료

  • 이은창 님께서 추가 발행한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