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백제의 영역변화
Ⅲ. 부성 촌제의 정착
Ⅳ. 담로제의 실시
Ⅴ. 방군 성제의 완성
Ⅵ. 결론
요약
초기 백제의 지방제도나 후대의 지방제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두 가지의 측면에서 우선 접근해야 할 것임을 강조하였다. 하나는 철저한 사료의 비판에 의한 사료의 정확한 이해가 선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당시 백제가 위치하고 있었던 지역의 지리적인 여건에 대한 충분한 이해 없이는 어렵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전제하에 우선 백제가 마한을 점령하게 되는 괴정을 시기별로 정리하였다.
백제가 위치하고 있던 오늘날의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등에서 당시 국가의 국경으로서 가능하였을 지형인 차령과 금강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보다 남진하여 노령산맥을 경계로 이북과 이남의 지형은 또한 백제의 영역확장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지형이다. 필자는 이러한 이유에서 차령과 금강의 이북까지를 백제가 점령하는 시기를 고이왕대로 이해했다. 그리고 노령의 이북지역까지의 점령시기를 비류왕대로, 노령의 이남지역 영산강유역까지 확장하는 것은 근초고왕대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영토의 확장위에서 백제의 지방통치의 변화를 추구하였다. 지방제도를 논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국가가 갖추어진 이후에 지방제도를 논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많은 혼란이 초래되고 마는 것이다. 필자는 적어도 백제가 하나의 고대국가로서 중앙과 지방의 제도를 운운하려면 적어도 차령과 금강이북의 영토는 확보하는 시기가 되어야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왜냐하면 제도가 먼저 있고 고대국가가 건국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고이왕대에 차령과 금강유역까지의 영토를 확장하고 중앙제도와 지방제도를 설정하게 되었는데 그때의 지방제도가 소위 부성촌제도의 정착으로 이해하였다. 그리고 또한 백제의 역사에 있어 근초고왕대에는 마한의 전체를 아우르는 시기로 이해하고 있다. 이에 전국을 하나의 제도권 하에 두어 통치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기존에 존재하던 담로(성)들 중심의 지방세력들을 중앙집권적인 편제로 이룩하였던 것이 근초고왕대 이루어지는 담로제였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백제가 근초고왕대 이후 노령이남 즉 영산강유역은 고구려와 말갈의 관계처럼 반독립적인 상태에 놓이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를 다시 직접지배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바로 동성왕, 성왕대에 이르러 가능하게 되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처럼 다시 영산강유역을 직접 지배하기 위하여 그리고 새로운 각오로 고구려에 의해 패한 상처를 씻기 위하여 성왕은 국호도 남부여라고 고치고 지방의 제도도 보다 조직적인 방군성의 제도를 실시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