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部體制論'에 반대하는 논의들의 문제점
Ⅲ. '部體制論'이 해결해야 할 몇 가지 사항
Ⅳ. 맺음말
요약
삼국 초기의 정치구조를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놓고 근자에 학계에서 약간의 논란이 있었다. 그 논란의 핵심은 이른바 ‘部體制論’의 當否에 관한 것이었다. 부체제론은 1975년에 처음 본격적으로 제기된 이후, 많은 연구자들로부터 동조와 지지를 받아왔다. 학자에 따라 이해체계가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그 요체는 ①삼국시대 초기에는 나라마다 ‘部’라고 불리는 단위정치체들이 존재하였으며, ②국가는 이들 ‘部’의 연합을 기반으로 하여 성립․발전하였고, ③각각의 ‘部’는 왕권(또는 왕이 소속한 최고 유력부)에 의해 일정하게 통제를 받으면서도 내부적으로 자치를 행하였으며, ④이러한 정치구조는 국왕을 정점에 둔 일원적인 관료체계가 확립되는 시기까지 삼국 모두에서 존속하였다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이러한 부체제론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연구자들은 대체로 두 부류로 나뉘어진다. 우선 삼국 초기부터 국왕 중심의 집권적 지배체제가 확립되어 있었기 때문에, 부체제론에서 주장되고 있는 것처럼 내부적으로 자치가 행해지는 단위정치체로서의 부는 애초부터 존재하지 않았고, 왕마저도 어느 한 부의 수장을 겸하면서 그 권력행사에 있어서 여타 부의 수장들로부터 일정하게 제약을 받는 상황이란 있을 수 없었으며, 따라서 부체제론은 성립될 수 없다는 주장이 있다. 그리고 앞의 주장에서처럼 초기 단계의 지배체제는 부체제적인 것이라기보다는 귀족합의체제적이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부체제론을 둘러싸고 진행되고 있는 찬반 논의에서 필자는 찬성 쪽에 서 있다. 사실 부체제론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보완을 기다리고 있는 부분들이 많다. 그렇지만, 적어도 현 단계에서는 삼국 초기의 정치구조를 해명하는 가장 유효한 틀임에 분명하다. 부체제론에 반대하는 논자들은 자신들의 평소 생각에 맞지 않기 때문에 부체제론은 타당하지 않다고 강변할 것이 아니라, 그 평소 생각이라는 것이 과연 얼마나 합리적인가에 대해서부터 곰곰이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부체제론자들도 주로 고구려와 신라 양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의 논의 수준에서 벗어나, 백제는 물론이고 고조선과 부여까지를 포괄한 한국 고대사회 전반의 정치구조로서 부체제가 어느 정도의 보편성을 띠는 것인가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각국의 부체제가 다른 나라의 그것과 비교해서 어떤 특색을 지니고 있는가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하겠다. (연구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