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一. 사비지역의 지리적 조건과 王都의 범위
二. 王都 5部制의 시행 양상
三. 王都 5部制의 사상적 배경
맺음말
요약
사비도성 5부제의 실상을 파악하였다. 1장에서는 사비지역의 지리적 여건, 사비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산성과 사지를 근거로 왕도의 범위가 시기가 내려옴에 따라 나성만이 아니라 좀 더 넓은 지역적 범위로 확대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2장에서는 문헌자료와 고고학 자료를 결부시켜 왕도 5부제가 어떻게 시행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3장에서는 왕도5부제 실시의 사상적배경을 음양오행사상에서 찾았다. 이를 바탕으로 백제 사비도성의 특징을 정리해보면 첫째, 사비도성은 북․서․남 3면이 강이고 북쪽 강에 접한 부분은 다시 구릉이 있으며, 개방된 동쪽에는 나성이 축조된, 전체적으로 강과 산이라는 자연지형을 최대한 이용하여 형성된 도성이다. 이로 인해 동아시아 도성이 전체적으로 장방형을 지향하고 있는데 반해, 백제의 도성은 부정형을 띠고 있다. 이는 고구려도 마찬가지이다. 둘째, 도성은 전체적으로 왕성(궁성)과 나성의 이중구조를 띤다. 왕성인 부소산성이 일종의 도피성의 기능을 담당했기 때문에 왕성 내부에 왕궁이 위치하지 않는 점이 특징적이다. 따로 황성이 설치되지 않고, 나성이 설치되었다는 점도 특징으로 들 수 있는데, 나성은 남조의 수도 건강성의 제도를 도입한 것이라 한다. 셋째, 사비지역의 지형적 여건에 말미암은 것이지만 궁성은 중앙에서 북쪽으로 치우쳐있다. 이는 궁성이 중앙에 위치한다는 『周禮』 考工記의 원칙과는 차이가 있는 것이다. 궁성을 북부 중앙에 집중시킴으로써 남북대로가 中軸線이 되었고, 이 중축선을 중심으로 도성의 구획된 배치가 가능해졌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도성의 시설은 기본적으로 생활의 편의와 질서를 제공하고, 지배층의 입장에서는 통치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궁성과 관청을 일반백성의 거주지역과 엄격히 구분하여 설치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다섯째, 방제는 시가지의 거주구역의 형성 방법으로 방제의 성립은 도시내 주민의 거주가 조직화되었음을 반영한다. 여섯째, 부-항제가 시행된 것은 도성의 공간이 확대됨으로써 방위명의 부라는 종래의 구분법을 따오고 여기에 중국 남조나 북조 수도의 항을 모방한 데서 유래한 것이 아닐까 한다. 이처럼 사비도성에서는 중국 도성제의 여러 가지 특징이 엿보이지만, 어느 한 도성만을 일방적․전면적으로 모방한 것이 아니라, 사비지역의 자연지리적 조건과 백제의 통치방식에 맞는 도성체제를 만들어낸 것이다. 따라서 사비도성을 중심으로 시행된 왕도 5부제도 정치권력과 부의 집결지인 왕도를 국왕의 직접 통제 하에 둠으로써 여타 지역에 비해 우위를 확보하고, 부-항이란 통치단위를 통해 주민에 대한 원활한 통제를 꾀한, 행정적․군사적 편제였다고 할 수 있다. (연구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