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백제 흥륜사와 신라 흥륜사
III. 백제와 신라의 기술 교류
IV. 백제 미륵사와 신라 황룡사
IV. 미륵사 9층3탑과 황룡사 9층1탑의 의미: 맺음말에 대신하여
요약
삼국은 4세기에 들어와 서로 국경을 접하면서 때로는 군사적 충돌을 하고 때로는 우호관계를 가지면서 自存과 勢力均衡을 도모하였다. 그리고 중국 대륙의 정세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면서 자국의 이익을 도모하였다. 4세기 이후 7세기 후반에 이르기까지 삼국 사이의 역학관계는 기본적으로 고구려와 백제가 남북에서 대결하는 기본 축을 이루고 여기에 신라가 상황에 따라 때로는 친고구려 정책으로 때로는 친백제 정책으로 대응하는 형태로 전개되었다. 이 과정에서 삼국 사이에는 문화적 교섭과 교류도 활발히 전개되어 갔다. 신라가 고구려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인 것이라든가 백제가 고구려의 계단식 積石塚무덤을 받아들인 것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문화적 교섭과 교류는 삼국이 상호 우호관계를 유지하고 있던 시기에는 물론이고 군사적 충돌이 있을 때에도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이리하여 삼국은 상호 간에 문화교류를 통하여 문화의 공통적 기반을 형성하여 나갔고 또 자국의 문화 기반위에 중국의 문화를 받아들여 문화수준을 높혀 나갔다. 본고는 백제가 웅진으로 천도한 이후 무왕대에 이르기까지 백제와 신라 사이에 행해진 교섭과 교류의 내용이 무엇이며 또 이러한 교류와 교섭이 어떠한 형태로 전개되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마련되었다. (연구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