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이왕 이전 《삼국사기》 백제 초기 기사를 재구성하면서 백제 초기 부의 성립시기와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어 그 기능과 성격을 파악하기 위하여 부의 설정 범위와 구조 및 운영실태, 그리고 지방세력가의 존재 형태를 통한 지방 지배방식의 특징을 살펴보면서 백제 초기 지방통치조직의 일면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백제는 초기부터 남․북부와 동․서부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중앙을 포함한 5부체제를 구성하였다. 백제 초기에는 중앙을 제외한 4부 중에서 특히 북부와 동부의 중앙 진출이 두드러졌다. 이들 세력은 중앙의 중요관제인 우보와 좌보직을 독점하였으며, 그 배경에는 낙랑과 말갈세력 등의 침입을 격퇴하면서 백제국 중심의 연맹체 내에서 왕족인 부여씨와 함께 유력한 정치세력으로 정치적 기반을 넓혀 나갔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2)백제의 방위명 부제는 부여의 전통적인 사방관념을 바탕으로 한군현인 낙랑군에서 실시한 부재를 가미하여 성립한 것으로 파악하였고, 또 그 성립시기는 백제가 한군현 세력을 크게 위협할 정도로 국력이 성장하는 2세기 후반 이전이었음을 추론하였다. 그리고 그 설치 배경은 낙랑과 말갈 등의 침입에 대비하려는 군사적 목적과 함께 백제국 중심의 연맹체 단계에서 중앙의 집권력을 강화하려는 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3)백제 초기의 부는 주로 군사적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군관구적인 지방구획의 성격을 가졌으며, 그밖에 행정적인 측면에서 관직 임명이나 순무활동 및 공물진상 등과 같은 복속의례적인 정치행위를 통해서 불철저한 지방지배를 보완하기 위한 기능도 가졌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고이왕대 이후 종래 부가 갖고 있었던 군사관련 기능이 신설된 좌장과 좌평에 이관되면서 부의 중요성이 그만큼 약화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이는 중앙 집권력의 성장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백제 초기의 부는 전체 영역을 대상으로 구획한 것이며, 그 구조는 외관상 部-城-村의 체계를 이룬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部 안에 병립해 있던 유력한 족단들을 매개로 하여 부를 통할케 하는 간접지배 방식을 취하였던 것으로 이해하였다. 아울러 백제 초기의 부는 취약한 지방 지배력을 보완하기 위해서 족제적인 성격의 부를 운영한 고구려와는 달리 지방을 방위별로 나눈 군관구적인 지방구획의 성격을 지닌 것으로 파악하였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