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풍납토성의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결과와 그 규모의 의미
III. 풍납토성과 백제의 초기국가 형성·발전에 대한 통설의 문제
IV. 풍납토성(하남위례성)과 『삼국사기』에 나타난 초기백제의 성장
V. 백제왕성의 존재
VI. 풍납토성과 한국고대사의 새로운 체계
요약
풍납토성의 발굴은 『삼국사기』초기기록에 근거한 필자의 한국고대사의 새로운 체계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기원전 2세기 위만조선시 십제가 형성되었고 기원전 2세기말 또는 1세기 초 언제인가 십제는 미추홀 소국을 병합하여 백제가 되었다. 그리고 기원전 1세기 이웃한 소국을 병합한 백제는 기원전 1세기 전반경 경기도 일원의 소국들을 병합한 왕국으로 성장하였다고 보아왔다. 이와 같은 백제의 초기국가 형성․발전에 대한 이해체계는 위례성이라고 생각되는 풍납토성의 존재를 설명하는 가설로 타당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특히 풍납토성 유적의 연대가 기원전 2세기까지 올라갈 확률이 높아진 상황에서 본 필자의 초기백제사에 대한 가설은 생명력을 지니게 되었다고 본다. 이와는 달리 『삼국지』한전에 근거한 삼한론으로는 기원전 2세기에서 기원 후 2~3세기까지 연대가 올라가는 풍납토성의 존재를 설명하기 어렵다. 기원 후 3세기 중․후반까지 소국들로 이루어진 삼한단계의 백제는 풍납토성과 같은 거대한 성을 축조할 수 없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삼국지』한전에 근거한 삼한론과는 달리 『삼국사기』초기기록에 근거한 새로운 체계가 한국고대사 체계로 타당한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 지난 100년 동안 이루어진 발굴 중 풍납토성에 대한 발굴은 가장 의미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그것은 고고학만의 성과가 아니라 역사를 위한 성과도 되기 때문이다. 그 동안 통설의 기세는 매우 컸다. 그런데 풍납토성의 조사결과는 통설의 문제점을 한순간 들어내어 주었다. 이제 『삼국지』한전에 근거한 삼한론, 연맹왕국론은 그 문제점을 심각하게 재검토할 때가 되었다. 『삼국지』한전에 대한 사료비판을 할 때가 되었다. 그리고 『삼국사기』초기기록의 사료적 가치를 인정할 때가 되었다. 그리고 풍납토성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결과는 『삼국사기』가 가지는 사료적인 한계를 벗어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여준 것이 사실이다. (연구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