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榮山江유역 토착세력에 대한 연구 동향
III. 4세기 후반 甕棺古墳 축조집단의 정치사회적 성격
IV. 5세기대 榮山江유역 정치체의 실상
V. 榮山江유역 토착세력과 백제의 관계
VI. 맺음말
요약
본고에서는 옹관고분 자료를 토대로 近肖古王 남정으로부터 5세기 후반 대에 이르는 시기의 영산강유역 토착집단의 실상 파악에 초점을 맞추었다. U자형 전용옹관을 쓰는 옹관고분의 분포상태를 검토한 결과 4세기 후반 전남지역에는 옹관고분이라는 특유의 묘제를 공유하던 5~6개 소국의 존재가 확인된다. 近肖古王 남정이후의 이 지역 토착집단의 실상에 대해서는 이견이 많지만 이전의 소국집단들은 통합된 조직체로 발전하지 못하고 개별 소국으로 존속하였으며, 그 중 가장 유력한 집단으로 성장한 것이 시종․반남세력이었다. 문헌자료에 의하면 倭, 백제관계에서 때때로 이들은 외교협상의 대상이 되었으나 항상 백제에 소속된 집단으로 간주되었다. 그리고 이들이 한반도 내의 다른 정치체나 중국 왕조를 대상으로 독자적인 정치체로서 활동한 흔적이 문헌상으로는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고고학적으로 지배계급의 권력 집중도를 보여주는 옹관고분의 경우, 분구의 규모는 크나 하나의 분구 속에 여러 사람을 매장한 것이므로 한 개인이 동원한 노동력의 양이 다른 지역 단일 小國 지배자에 비해 특별히 거대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부장된 철기나 무기의 양이 상대적으로 빈약한 것도 단순히 매장습속의 차이만은 아니며, 이 지역에서 축적된 잉여물자의 일부가 공납의 형태로 빠져나간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실들은 이 지역 정치체들이 대외적인 정치, 군사활동면에서 백제의 통제 하에 있었으며, 어떤 형태로는 공납 징수의 대상이 되었다는 증거이다. 그러나 4세기 후반이후 영산강유역 토기양식의 성립에서 나타나듯이 토착지배세력들은 토기생산과 유통 등 대내적인 권력기반은 상당부분 유지할 수 있었다. 이는 백제의 통제가 공납 징수나 정치 군사적인 대외교섭이나 전략물자를 통제하는데 국한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제한적이나마 이 지역에 대한 백제의 통제권 행사는 백제로 하여금 서남해안을 통하는 해상권 장악을 보장하였고, 고구려 남하에 대항하여 倭와 전략적인 제휴를 유지하고 있던 백제에게 倭의 협조를 끌어내는데 유리한 조건으로 작용하였다. 5세기 후반 고구려와의 긴장 관계가 더욱 높아지고, 蓋鹵王이 강력한 왕권강화 정책을 전개하면서 지방 토착세력 통제에도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 시종․반남세력에 대해서도 강도 높은 복속의례를 요구했던 것 같다. 이러한 백제 왕실의 복속지역 통제정책은 漢城함락과 熊津천도로 일시 중단되었으나 東城王대 이후 정국이 안정되면서 재개되었고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