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왕후태수제의 성립 배경은 마한소국시대부터 한성관호에 그 연원을 두고 4세기 후반 동진과의 교섭, 이에 수반도니 백제왕의 책봉, 5세기초 일련의 개혁으로 적극 채용된 것이며 중국과의 빈번한 접근과정에서 수용된 유교적 왕도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다. 또한 5세기 전반에 걸친 왕권의 전제화 세력을 추구하려는 의도에 의해 취해진 조처이며 고구려와의 긴장이 고조됨에 따라 다원적이고 루즈한 지배질서를 왕권중심으로 확립하여 군사동원체제를 구축하고 경제통합을 발전시키고 대중관계의 비중을 높여 고구려를 견제하기 위한 조처이다.
백제의 관호에 관한 지금까지 연구경향은 실재성에 입각하여 오세기말 남천 후 적극적인 지방지배책으로 너무 확대해석된 점이 있다. 우선 왕후호가 몇 개로 한정되어 있고 지명비정에도 합리적인 고증이 제시되지 못했다. 태수계 지명도 왕후호와 같은 의도하에 봉해졌다면 태수호지명인 중국계 지명은 당시 남북조시대의 군제와 관련시킬 때 실제의 봉지나 봉국이라기에는 난점이 생긴다. 오히려 삼국사기 동성왕 20년이후 중앙집권의 지방파견 기사와 관련시키는 것이 합리적이다.
또한 중국 왕후제와 관련시키면 다분히 백제왕권에 의한 중신의 작위화한 측면을 반영한 것이다. 이같이 왕후태수호는 대중외교상의 필요에 의해 중국식 작호제를 채용하였지만 단순한 모방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백제사회의 확대,발전과 당시 꾸준히 추진하던 중앙집권적 지배체제의 성장에서 나온 산물이었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