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근초고왕의 영산강유역 경략과 지방통치
1. 영산강유역 토착세력의 성장과 연맹체 형성
2. 근초고왕의 남정과 공납지배
III. 백제의 쇠퇴와 영산강유역 토착세력의 동요
1. 웅진천도와 변방세력의 이탈
2. 방군성제 실시와 토착사회의 변화
IV. 맺음말
요약
3세기 후반에 이르러 백제가 한강 하류지역에서 연맹왕국을 형성한 것과 마찬가지로 전남지역 新彌國을 중심으로 세력의 결집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런데 신미국은 연맹왕국을 형성하여 영산강유역 토착세력의 수장으로 군림하는 단계까지 발전하지 못하고, 다만 대외교섭을 주도하면서 주변에 대하여 영향력을 미칠 수 있었다. 한편 영산강유역의 토착세력은 근초고왕의 經略을 당하여 독자적인 발전을 더 이상 지속하지 못하고 백제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그러나 백제의 한성 함락과 웅진 천도 이후 계속되는 政局의 불안과 중앙집권력의 약화는 변방세력들이 그 영향력으로부터 이탈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것은 백제의 제왕으로서 相補的관계에 있던 반남세력보다는 그 외곽 집단에 의해 주도되었다. 또한 반남의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九州系統의 왜계 유물이 상당량 埋納된 長鼓墳이 축조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백제는 반남 외곽의 중소 지방 세력과 결합하면서 보다 세분화되고 精緻한 지배를 실현하려고 하였다. 이것은 백제의 지방지배가 한 단계 더 발전한 것을 의미하며 在地의 전통적인 토착기반을 해체하고 지방사회를 재편하려는 의도와 부합된 것이었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