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세기 무렵 백제가 지방을 어떤 방식으로 지배하였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 필자는 部體制에 입각하여 설명해보았다. 사실 이는 매우 전통적인 시각의 하나로서 크게 새삼스러울 것은 없다. 그러나 근래 4세기 무렵 백제의 지방지배방식은 檐魯制였다는 학설이 제기되어 다수의 지지를 얻고 있으므로 이 문제를 재검토해본 것이다.
4세기에 檐魯制가 시행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이유는 그 근거사료인日本書紀 仁德紀기사의 紀年을 5세기 후반 이후로 조정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近肖古王代의 領土擴張에 주목한 이른바 大勢論도 檐魯制의 특성상 아무런 관련이 없음을 알았다.
담로제의 전단계인 部體制에 대해서는, 夫餘․高句麗의 族制的5部體制와 연계시키지 않고 행정단위로서의 성격이 강한 중국식의 部體制를 모방한 것이 아닌가 생각해보았다. 중국에서 部는 주로 변방지역에 설치되었는데, 土着民의 저항을 무마시키고 중국중심의 질서 속으로 서서히 흡수하기 위한 장치였다. 백제에서도 역시 비슷하여 地方勢力을 中央中心의 一元的 秩序體系속으로 끌어들이고, 그를 통해 王의 統治權을 확대하려는 목적에서 部體制를 시행하였다고 추론하였다.
추론을 실증하는 자료로서는 京畿道華城지역에서 조사된 馬霞里․白谷里古墳群에 주목하였다. 4세기 무렵에 백제의 중앙세력과는 크게 다른 葬法을 사용한 이들 古墳群에서 風納土城등에서와 같은 遺物이 출토된 것은, 이 지역의 지배세력이 중앙과는 宗族的으로 구별되면서도 정치․경제․사회적으로는 독립을 유지하지 못하고 중앙 중심의 질서 속에 편입되어 있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