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旣存 硏究 成果의 問題點 및 새로운 理解 方向
III. 中央集權的 王權의 登場에 따른 支配理念의 變遷
1. 高句麗
2. 百濟
3. 新羅
IV. 맺음말
요약
고구려는 불교 수용 전후기에 이미 천신신앙을 중심으로 중앙집권적 왕권을 뒷받침하는 지배이념을 구현하였고, 이후 유교와 불교, 도교 등을 흥성시켜 왕실과 국가의 권위를 대내외적으로 더욱 높게 확립하였다. 백제의 경우는 일찍이 시조묘 제례와 제천사지로 표현되는 백제 고유의 정치 철학을 지배층의 사유 관념으로 가지고 있었지만, 중국의 祀郊 制度 등 유교와 불교를 수용하며 이를 중심으로 하는 지배이념을 구현하였다. 반면 신라는 사로국의 성읍국가 단계나 박, 석, 김 삼성이 왕위를 교립하는 연맹사회 단계까지는 천신신앙을 지배이념으로 삼았지만, 김씨 왕계의 확립과 더불어 중앙집권적 왕권의 확립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불교를 정점으로 유교로 이를 보완하며 고대국가의 지배이념을 마련하였다.
이와 같이 삼국은 고대국가로의 발전 과정에 나타난 여러 가지 여건의 차이, 특히 왕실의 의지 및 왕권의 성장도 그리고 사회 발전의 시기적 차이에 따라 임의로 각각 다른 지배이념을 천명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선진적이며 시기적으로 왕권의 성장 속도가 빨랐던 고구려의 경우는 천신신앙을 그 정점에 놓은 경우로 볼 수 있다. 반면 선진적이었으나 왕권의 盛衰가 잦았던 백제와 후진적이며 왕권의 성장 속도가 느렸던 신라는 불교를 정점으로 하는 지배이념을 마련하여 사상적으로 중앙집권적 왕권 체제를 합리화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삼국을 일률적인 시각에서 고대국가의 지배이념을 논하는 것은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곧 고대국가의 지배이념에 대한 접근은 삼국의 성장 과정 속에 나타난 왕실의 으지 및 왕권의 성장도 그리고 대내외적인 정치적 환경․발전 과정을 고려하며, 삼국에 대한 개별적인 입장에서의 심도있는 이해와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