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문헌

부여 정림사지 출토 소조상의 제작시기와 계통

  • 분류 고고·미술 > 유물
  • 권호수 제74호
  • 저자 이병호
  • 발행일 2006년 7월
  • 게재지 미술자료
  • 발행처 국립중앙박물관

목차

Ⅰ. 머리말
Ⅱ. 소조상의 제작시기
Ⅲ. 소조상의 계통
Ⅳ. 맺음말

요약

정림사지에서 출토된 소조상의 제작시기와 계통 문제를 검토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정림사지 출토 소조상의 제작시기에 대해 검토하였다. 정림사지 소조상의 제작시기는 삼족토기나 중국 청자편과 같은 공반유물을 통해 볼 때 그 상한이 사비 천도 이전까지 소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소조인물상의 제작기법이나 형태가 북위 후기의 도용과 유사한 점이나 사비 도성의 정비 과정을 감안하면 그 제작시기도 사비 천도 이후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렇게 볼 때 『양서』등에 기록된 541년 工匠․畵師 파견 기록이 주목된다. 백제 성왕은 이때 사비 천도 사실을 양무제에게 처음 알리고 사비 도성의 정비와 상징물을 건립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문물을 요청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양에서 건너온 공장․화사의 참여로 이루어진 결과물이 정림사지 목탑과 탑내소상으로 나타났던 것이다. 한편 541년 백제로 건너온 전문기술자들은 연판의 끝이 뾰족한 정림사지 B형식의 연화문수막새나 황갈유가 발린 소조불두와 같은 소위 백제연유 기술도 함께 전해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Ⅲ장에서는 소조상이 계통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정림사지 소조상의 계통에 대해서는 북조 도용이나 낙양 영녕사 출토 소자상과의 유사성으로 인해 북조 계통으로 파악하였다. 하지만 중국 남북조시대 도용의 경우 소위 한수유역양식과 같이 남북조 문화가 접합되는 현상이 확인된다. 또 사비 천도 전후 북조와의 사신 왕래가 전무했던 것이나 541년의 문헌기록, 봉보주보살상과 같은 남조 특유의 도상이 발견된 점이 주목된다. 따라서 정림사지 소조상의 계통은 북조의 직접적인 영향에 의한 것이 아니라 북조의 영향을 받아 남조 건강 내부에서 문화접변이 이루어진 것이 재차 백제로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다. 527년에 완성된 건강의 동태사 9층 목탑이나 최근 남경 지역에서 출토된 소조상편은 建康에도 탑내소상으로 장엄된 목탑이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부여 정림사지에서 발견된 봉보주보살상과 같은 남조계통의 불교도상과 능사 등지에서 출토된 소조상들은 현재 공백으로 남아 있는 남조 불교미술과 남북조 문화의 접변을 추론하는 자료가 될 것이다.
끝으로 부여 정림사지의 사명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였다. 정림사지라는 명칭은 고려 시대 명문와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사비시기에 중국이나 일본에 동명의 정림사가 공존한 점을 볼 때 창건 당시에도 정림사로 불렸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필자 맺음말)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문헌 > 기타 익산연동리석불좌상 광배의 도상연구-문헌을 통하여 본 백제불상광배의 特性(益山蓮洞里石佛坐像 光背의 圖像硏究-文獻을 통하여 본 백제불상광배의 特性)
    • 발행처국립중앙박물관 
    • 저자조용중 
    • 발간년도 
    • 게제지미술자료 제49호 
    자료카드

'이병호'님께서 발행한 자료

  • 문헌 > 정치·외교 금산 백령산성 출토 문자기와의 명문에 대하여 -백제 지방통치체제의 한 측면-
    • 발행처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저자이병호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문화 제49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사비시기 도성의 의례 공간과 왕권(百濟 泗沘時期 都城의 儀禮 空間과 王權)
    • 발행처한국고대사학회 
    • 저자이병호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고대사연구 제71집 
    자료카드
  • 문헌 > 문화 비조사에 파견된 백제와박사의 성격(飛鳥寺에 파견된 百濟瓦博士의 性格)
    • 발행처한국상고사학회 
    • 저자이병호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상고사학보 제81호 
    자료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