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문헌

백제 평저호류의 분포와 변천(百濟 平底壺類의 分布와 變遷)

  • 분류 고고·미술 > 유물
  • 권호수 제18권
  • 저자 박지은
  • 발행일 2008년 4월
  • 게재지 호서고고학
  • 발행처 호서고고학회

목차

Ⅰ. 머리말
Ⅱ. 平底壺의 分類
1. 平底壺의 型式 分類
2. 平底壺의 種類
3. 計測的 屬性을 통한 檢證
Ⅲ. 平底壺의 分布와 變遷樣相
1. 平底壺의 分布
2. 平底壺의 地域別 編年
3. 平底壺의 展開 樣相
Ⅳ. 맺음말

요약

본고에서는 52개 유적에서 확인된 139점의 평저호를 대상으로 형식 분류하여 기종을 세분하고 통계적 분석 방법을 통해 검증해 보았다. 백제 한성기의 평저호는 어깨나 구연의 형태, 동최대경의 위치 등을 통해 원견호와 평견호, 광견호 그리고 평저단경호와 평저광구호로 세분할 수 있다. 평저호가 출토된 유적은 지형과 수계에 의해 한강유역권, 미호천 및 갑천유역권, 서해안유역권, 금강중하류유역권 및 영산강유역권으로 구분된다. 이들 유적에서 확인되는 평저호는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인다. 특히 산수리, 용원리, 신봉동유적 등을 중심으로 하는 미호천 및 갑천 유역권에서는 평견호의 출토비율이 매우 높아 주목되는데, 평견호는 이 일대를 제외하고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특히 생산유적인 진천가마 말기에 해당하는 산수리 7호 요지에서 대량으로 발견되어, 4세기 후엽 경 이 지역에서 자체적으로 생산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견호는 기존에 유견호로 불리던 토기로 동최대경이 견부에 있으나 둥근 형태를 띠는 토기를 말한다. 원견호와 평견호는 그동안 동일한 기종의 것으로 분류되어왔으나, 분포지역이나 시기 등이 확연히 달라 본고에서는 양자를 각각 독립적인 기종으로 파악했다. 이밖에도 서해안유역권에서는 원견호가, 한강유역권에서는 평저단경호가, 영산강유역권에서는 광구호의 출토빈도가 높아 평저호의 지역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필자 요약)

링크주소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문헌 > 정치·외교 웅진시대 백제와 신라의 관계에 대한 고찰 - 나제동맹에 대한 비판적 검토 -
    • 발행처호서고고학회 
    • 저자정재윤 
    • 발간년도 
    • 게제지호서고고학 제4.5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4~5세기 왜에서 가야·백제로의 교역루트와 고대항로(4~5世紀 倭에서 加耶·百濟로의 交易루트와 古代航路)
    • 발행처호서고고학회 
    • 저자우재병 
    • 발간년도 
    • 게제지호서고고학 제6.7집 
    자료카드

'박지은'님께서 발행한 자료

  • 박지은 님께서 추가 발행한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