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동아시아의 정세변화에 대한 대응
Ⅲ. 近肖古王의 가야정벌과 지역
Ⅳ. 濟·倭 연합의 이유
Ⅴ. 百濟의 가야 진출과 新羅의 대응
Ⅵ. 맺음말
요약
서기 4세기에는 중국 대륙에 ‘5호 16국’ 시대가 대두함에 따라 중국⇔요동(낙랑·대방)·고구려⇔백제⇔마한·가야·신라⇔왜로 연결되는 동북아시아의 기존 교류 체계가 흔들리게 되었다. 이에 한반도를 둘러싼 동북아시아에는 새로운 정치·경제적 질서의 수립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 먼저 움직임을 보인 것이 바로 백제였다. 백제에서는 근초고왕의 주도 아래 대내적으로는 왕권 강화에 필요한 국가적 기반을 계속 확충하고 대외적으로는 백제 주도의 중국⇔백제⇔마한·가라⇔왜로 이어지는 새로운 정치·경제적 국제 교류체계를 형성하기 위한 발판으로 한반도 남부의 가야 지역에 대한 대대적인 정벌을 시도하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서기 369년에 오늘날 낙동강 유역의 비자발, 남가라, 안라, 탁국, 다라, 탁순, 가라를 평정하는데 이는 일본서기에 기록된 근초고왕 자신의 말처럼 “국기를 영원히 견고하게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를 바꾸어 말하면 전근대 시기 국가가 곧 왕으로 간주되었음을 생각할 때, 국가의 기틀이란 곧 왕가의 기틀 내지는 왕권의 기반을 의미한다.
이처럼 근초고왕의 정벌로 낙동강 일대의 가야지역은 다음대인 근구수왕 시기까지도 백제의 효과적인 통제 아래 놓여 있었다. 그러나 이것은 곧바로 신라의 반발을 불러왔다. 백제가 가야를 완전히 장악한다면 그것은 단순한 교역권의 장악으로만 그칠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라는 이러한 상황을 타개할 목적으로 서기 400년에 고구려의 광개토왕을 끌어들이고, 그 결과 백제는 서기 5세기에 들어서, 백제 주도의 백제-가야-왜로 이어지는 교류 체계를 상당 부분 훼손 당하게 되었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