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백제의 마한 복속과 공납지배
Ⅲ. 담로제 실시와 지방통치의 변화
Ⅳ. 맺음말
요약
백제는 3세기 후반에 이르러 한강 하류지역을 중심으로 연맹왕국을 형성하였고 주변의 마한과 말갈 등에 대한 통합에 나섰다. 그러나 백제는 군현과 그 부용세력인 말갈세력의 압력을 극복하지 못한 상황에서 마한에 대해 부용관계를 일정한 시기까지 유지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백제는 이 지역의 진출에 앞서 토착세력의 분열을 유도하고 분할정책을 구사하는 군현의 이이제이 정책을 분쇄할 필요가 있었다.
백제가 마한방면으로 진출한 것은 군현이 축출되고 말갈을 제압한 4세기 이후부터였다. 백제는 늦어도 4세기 전반 비류왕 대에는 마한의 중심세력인 천안의 목지국과 익산의 건마국을 복속하였다. 근초고왕때에는 영산강유역까지 진출하였고 가야에 대해서도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백제는 원백제지역을 5부로 편성하여 부체제를 실시하였고 그 나머지 지역은 공납지배를 시행하였다. 다만 마한의 중요한 지역에 축조된 성에는 중앙에서 귀족을 파견하여 거점지배를 실시하였다. 이는 담로제의 시초가 되었고 그 시기는 4세기 초반 비류왕 때로 볼 수 있다.
담로에 파견된 관리는 처음부터 실질적 지방관 권한을 갖고 주변 토착세력을 직접 지배한 것은 아니었다. 담로는 인근의 제성을 통괄하는 거점으로 이용되었고 주변의 여타 지역은 토착세력이 실질적으로 장악하였다. 또한 담로에 파견된 관리는 왕족을 중심으로 이성귀족도 일부 포함되었다. 담로제는 거점지배방식에 그쳤기에 토착세력의 권한을 중앙의 통치권 속에 완전히 흡수하지 못하였다.
담로에 파견된 관리는 재지세력의 협조아래 지방을 통치하였으며 지방세력도 기득권을 일정 정도 유지할 수 있었다. 담로에 파견된 귀족과 그 막료들이 소유한 중앙의 문화양식이 지방으로 전파되면서 동질감이 확산되는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
근초고왕 때 이르러 담로제는 전국에 동일한 지방통치 방식으로 정착되었다. 이로서 백제는 중앙집권적 귀족국가를 형성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고 마한 지역을 비롯한 정복지에 대한 차별의식도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백제는 담로제를 전국에 걸쳐 실시하면서 지방 유력 토착세력을 중앙 귀족으로 전환시켰고 토착세력은 시대적 조류에 편승하여 중앙 귀족으로 진출하거나 지방의 하급 실무자로 전락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마한 중심지와 달리 영산강유역은 공납지배가 한동안 더 지속되었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