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문헌기록을 토대로 백제 건국시조로 전해지는 온조와 비류, 구태에 대해 그 출자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서 그동안 혼란스러웠던 미추홀의 위치와 대방 고지의 성격에 대한 나름대로의 체계도 잡아 보았다. 그런데 이들의 출자에 대해서 사료 자체가 모호한 점이 많아 쉽게 단정할 수 없는 부분도 있었다.
우선 온조와 비류가 본래 거주했었던 지역과 출발지는 졸본 지역이었다. 이는 오늘날의 중국요령성 운강 유역의 환인현 일대로 추정되고 있는 지역이다. 이 지역은 고구려의 발상지이기도 하여 비류나 온조를 고구려계로 말할 수도 있겠지만 부여계로 보는 것이 순리이다. 이는 비류나 온조가 고구려 국가성립 과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한편 고대사료에서 나타나는 비류계 명칭은 졸본의 비류수 유역에 정착하여 세력을 형성했던 부여계통의 집단이 어떤 사정이 계기가 되어 다른 지역으로 분파, 이동하여 정착해가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이다.
주서나 수서, 북사 등에 보이는 구태는 아무리 늦어도 주서 백제조의 시대인 위덕왕대에는 백제 왕실의 실질적인 시조로 제사지내고 있던 존재이다. 그는 시조전승으로서의 체계를 갖추고 당당히 삼국사기에 전해지는 온조라고 하겠다. 즉, 구태와 온조는 동일한 존재인 것이다. 그리고 구태전승과 더불어 제기되는 대방 지역은 어느 일부 지역에 국한된 명칭이 아니라 광의의 백제 지역을 말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렇게 볼 때, 대방고지는 양주고읍에 해당하고 여기에 미추홀이 있었다는 학계의 일부 견해는 성립하기 어렵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