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6세기의 한반도 상황
Ⅲ. 6세기 전반의 우호관계
Ⅳ. 6세기 후반의 변화 양상
Ⅴ. 맺음말
요약
삼국사기를 통해 보면 무령왕 즉위년에서 성왕28년에 이르기까지 약 50년간의 백제의 대외관계는 고구려와의 전투가 중심을 이룬다. 백제는 신라와의 연합전선을 구축하면서 고구려의 압박에 대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백제와 고구려의 갈등은 신라가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주는 계기가 되었으며, 신라는 결국 한강 유역을 확보하고 562년 대가야 지역을 점령하게 되었다.
신라가 대가야를 점령하기 이전 일본의 대한반도 교류의 중심 창구는 백제였다. 따라서 백제의 선진문물에 대한 댓가로서 일본은 백제의 대고구려전과 신라전을 위하여 군사원조를 지원하였다. 한편 6세기 전반 백제는 대일본관계를 적극 수행하였다.
그러나 562년 신라의 대가야 함락 이후, 백제와 일본의 관계도 변화하였다. 일본서기를 보면 백제 위덕왕 2년, 동생 혜를 청병을 위해 파견한 이래 민달 3년까지 약 20여년 동안 일본과 교류기사가 보이지 않는다. 반면 신라는 일본에 적극적으로 접근하고 고구려도 일본과 왕래를 본격화한다. 즉, 백제 중심으로 선진문물을 수입하던 일본이 다면외교로 변화하려는 조짐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6세기 중후반 백제는 일본뿐 아니라 중국 남북조와도 교류를 활발히하고 남북조 말기 중국 정세 변동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였다. 이처럼 662년 대가야 멸망을 기점으로 백제의 대외관계는 일본에 대한 지속적인 선진문물 제공으로 기존의 대일본 관계 유지를 꾀하였고 한반도에서의 자국의 위상 제고와 고립화 타개를 위해 중국과의 외교를 확대하였던 것이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