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문헌

백제 사비시대의 좌평제 연구(百濟 泗沘時代의 佐平制 硏究)

  • 분류 문헌 > 정치·외교
  • 권호수 제9권
  • 저자 양기석
  • 발행일 1997년 3월
  • 게재지 忠北史學
  • 발행처 忠北大學校史學會

목차

머리말
Ⅰ. 泗沘時代 前期 佐平의 存在形態와 役割
Ⅱ. 泗沘時代 後期 佐平制의 變化
1. 六佐平의 設置
2. 佐平의 地位變化
맺음말

요약

좌평에 대한 여러 명칭을 검토한 결과 좌평의 명칭을 종래 『주례』 夏官 司馬의 직장에서 취한 것으로 보았으나, 좌평은 1품관이고 백제 초기의 최고관직인 左·右輔를 개편하여 설치된 점에 미루어 보아 오히려 총재 또는 재상의 직장을 뜻하는 ‘以佐天子理陰陽 平邦國’과 결부시키는 것이 보다 타당해 보인다. 그리고 좌평의 별칭인 ‘左率’이란 명칭을 통해 좌평이 솔계관등에서 분화되었음을 시사해 주고 있기 때문에 좌평제의 기원을 사비시대 주례주의 정치이념의 채용과 관련항려 보는 것보다는 솔계관등의 연원인 족장적 성격의 ‘率善’관직에서 찾는 것이 설득력 있어 보인다.
사비시대 전기의 좌평은 정원이 5명이었는데 상좌평에서 분화된 태(대)좌평과 상ㆍ중ㆍ하의 삼좌평은 귀족화의의 핵심 구성원인 동시에 합의방식에 의한 정책심의 의결권을 행사하였으며, 일반 좌평은 사안에 따라 특정업무를 관장하는 1품의 신분이었다. 좌평은 거의 유력한 대성귀족 출신이 임명되었는데 귀족회의나 삼좌평 합의체 운영을 통해 그들의 이익을 대변하였고, 때로는 왕권을 견제하는 역할도 하였다. 삼좌평 합의체는 직능분화와 권력분산을 통한 상호견제의 의미를 갖고 있다. 국왕 직속의 내정관부와 행정관부로 구성된 22부사와 이와는 다른 계통의 관직인 좌장, 내두, 영군, 내신 등을 통해 국가 행정업무를 집행함으로써 왕권 중심의 정치운영을 이루어 나갈 수 있었다.
한편 6좌평은 중국의 6전체제를 바탕으로 내두ㆍ영군ㆍ내신과 같은 백제의 전통적인 관직을 확대 개편하고, 이들 관직에 종래의 솔계관등을 격상시켜 좌평급을 임명한 데에서 비롯한 것이었다. 정무를 직능적으로 분담한 6좌평 설치는 왕권강화와 관련이 있으며 백제 정치제도의 진전을 보여주는 것이다. 6좌평의 설치 시기와 좌평의 정원 철폐는 무왕이 왕성수리와 태자 책봉 등의 시책을 통해 왕권의 위상을 확고히 하는 무왕 30년대 전반경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무왕과 의자왕대에는 대성귀족 출신의 좌평이 증가하고 또 성씨의 중요성이 약화되는 가운데 좌평신분의 현저한 숫적 증가현상이 나타난다. 이에 따라 직책 없는 무임소의 좌평이 증가한 결과 좌평신분의 지위하락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사비시대 후기에는 직책 없는 좌평신분이 현저히 증가할 정도로 정원이 철폐되는 추세 속에서 특정한 정무를 담당하는 관직적 성격의 대좌평, 상좌평, 6좌평이 있어 국왕권력에 편제된 관료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국정을 총괄하는 최고 집정관인 대좌평과 좌평신분을 대표하는 상좌평은 재상의 역할을 수행하였고, 관료적 성격의 6좌평은 정무를 여섯으로 분담하여 국가정책을 심의 의결하는 정책결정기관으로서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6좌평의 하위 행정실무 기구인 22부사를 한 축으로 하여 왕권의 전제화를 이룩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필자 맺음말)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忠北大學校史學會 에서 추가 발행한 자료가 없습니다.

'양기석'님께서 발행한 자료

  • 문헌 > 정치·외교 삼국시대 인질의 성격에 대하여(三國時代 人質의 性格에 대하여)
    • 발행처단국사학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사학지 제15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전지왕대의 정치적 변혁(百濟 腆支王代의 政治的 變革)
    • 발행처호서사학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역사와 담론 제10권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5세기 백제의 『왕』·『후』·『태수』제에 대하여(五世紀 百濟의 『王』·『侯』·『太守』制에 對하여)
    • 발행처한국사학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사학연구 제38호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의 해외진출
    • 발행처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계간경향 여름호 
  • 문헌 > 정치·외교 백제초기의 왕위계승과 왕권의 성격(百濟初期의 王位繼承과 王權의 性格)
    • 발행처충북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호서문화연구 제8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성왕대의 정치개혁과 그 성격 - 전제왕권의 성립문제와 관련하여(百濟 聖王代의 政治改革과 그 性格 - 專制王權의 成立問題와 관련하여)
    • 발행처한국고대사학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고대사연구 제4권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위덕왕대 왕권의 존재형태와 성격(百濟 威德王代 王權의 存在形態와 性格)
    • 발행처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연구 제21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성왕대의 정치개혁과 그 성격; 전제왕권의 성립문제와 관련하여(百濟 聖王代의 政治改革과 그 性格; 專制王權의 成立問題와 관련하여)
    • 발행처한국고대사학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고대사연구 제4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한국고대의 중앙정치; 백제 전제왕권의 성립문제를 중심으로(韓國古代의 中央政治; 百濟 專制王權의 成立問題를 중심으로)
    • 발행처국사편찬위원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국사관논총 제21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5~6세기 전반 신라와 백제의 관계(5~6世紀 前半 新羅와 百濟의 關係)
    • 발행처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제15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근구수왕의 대외활동과 정치적 지위 -고구려와의 관계를 중심으로-(百濟 近仇首王의 對外活動과 政治的 地位 -高句麗와의 關係를 중심으로-)
    • 발행처백제문화개발연구원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논총 제6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초기의 부(百濟 初期의 部)
    • 발행처한국고대사학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고대사연구 제17권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위덕왕대의 대외관계 : 대중관계를 중심으로(百濟 威德王代의 對外關係 : 對中關係를 중심으로)
    • 발행처한국고대학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선사와 고대 제19호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5-6세기 백제의 북계 -475-551년 백제의 한강유역 영유문제를 중심으로
    • 발행처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박물관기요 20 
  • 문헌 > 정치·외교 5세기 백제와 왜의 관계
    • 발행처한일관계사학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왜 5왕 문제와 한일관계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관산성 전투의 양상과 영향(管山城 戰鬪의 樣相과 影響)
    • 발행처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중원문화연구 제12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문화의 우수성과 국제성(百濟 文化의 優秀性과 國際性)
    • 발행처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문화 제40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 변천(백제 王興寺의 創建과 變遷)
    • 발행처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문화 제41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위덕왕대 왕흥사의 창건과 배경(百濟 威德王代 王興寺의 創建과 背景)
    • 발행처한국문화사학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문화사학 제31호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홍성지역의 고대사회 -지배세력의 성장과 변화를 중심으로-(洪城地域의 古代社會 -支配勢力의 成長과 變化를 중심으로-)
    • 발행처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문화 제47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박사제도의 운용과 변천(百濟 박사제도의 운용과 변천)
    • 발행처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문화 제49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전남지역 마한사회와 백제(全南地域 馬韓社會와 百濟)
    • 발행처백제학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학보 제9권 
    자료카드
  • 문헌 > 경제·사회 백제의 세제(百濟의 稅制)
    • 발행처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연구 제18집 
    자료카드
  • 문헌 > 경제·사회 웅진시대의 사회경제사(熊津時代의 社會經濟史)
    • 발행처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문화 제24집 
    자료카드
  • 문헌 > 문화 백제문화의 교류와 국제성(百濟文化의 交流와 國際性)
    • 발행처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충청학과 충청문화 제7권 
    자료카드
  • 문헌 > 문화 고대 동아시아의 문화교류–백제 음악의 대외교류를 중심으로-(古代 東아시아의 文化交流 –百濟 音樂의 對外交流를 중심으로-)
    • 발행처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충청학과 충청문화 제15권 
    자료카드
  • 문헌 > 기타 <삼국사기> 도미열전 소고(<三國史記> 都彌列傳 小考)
    • 발행처교학사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이원순교수 회갑기념논총  
    자료카드
  • 문헌 > 기타 백제역사의 전개
    • 발행처충청남도, 공주대박물관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의 조각과 미술  
  • 문헌 > 기타 백제 부여륭 묘지명에 대한 검토(百濟 夫餘隆 墓誌銘에 대한 檢討)
    • 발행처국사편찬위원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국사관논총 제62집 
    자료카드
  • 문헌 > 기타 백제 부여륭 묘지명의 ‘백제 진조인’(百濟 夫餘隆 墓誌銘의 ‘百濟 辰朝人’)
    • 발행처동간행위원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김현길교수정년기념 향토사학논총  
  • 문헌 > 기타 남한강 유역의 고대사 연구(南漢江 流域의 古代史 硏究)
    • 발행처강원향토문화연구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강원문화사연구 제4집 
    자료카드
  • 문헌 > 기타 고대
    • 발행처역사학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역사학보 제167집 
    자료카드
  • 문헌 > 기타 백제 무령왕대의 자존적 천하관(百濟 武寧王代의 自尊的 天下觀)
    • 발행처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중원문화논총 제16.17집 
    자료카드
  • 문헌 > 기타 나의 한국고대사 연구
    • 발행처한국고대사학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고대사연구 제74권 
    자료카드